top 雜病篇 卷之一 天地運氣 天地不足之方

1.9 天地不足之方

천지의 부족한 방위

Regions where Heaven and Earth are Incomplete

1 黃帝曰, 天不足西北, 左寒而右涼, 地不滿東南, 右熱而左溫, 其故何也. 岐伯曰, 陰陽之氣, 高下之理, 大小1之異也. 東南方, 陽也. 陽者, 其精降於下, 故右熱而左溫. 西北方, 陰也. 陰者, 其精奉於上, 故左寒而右凉. 是以地有高下, 氣有溫涼, 高者氣寒, 下者氣熱. 故適寒涼者脹, 之溫熱者瘡, 下之則脹已, 汗之則瘡已. 此腠理開閉之常, 大小2之異耳. 《內經》

황제가, "하늘은 서북(西北) 쪽이 부족하여 좌측은 차고 우측은 서늘하며, 땅은 동남(東南) 쪽이 부족하여 우측은 덥고 좌측은 따뜻한데, 그 이유는 무엇 때문입니까?" 라고 하니, 기백이, "음양의 기(氣)가 지리의 고하(高下)3를 다스리는 것에는 태과(太過)와 불급(不及)에 차이가 있습니다. 동남방은 양(陽)에 속하는데, 양은 그 정화(精華)가 아래로 하강하므로 남방[右]은 덥고 동방[左]은 따뜻합니다. 서북방은 음(陰)에 속하는데 음은 그 정화가 위로 이어지므로 북방[左]은 춥고 서방[右]은 서늘합니다. 그런 까닭에 지리에는 고하(高下)가 있고 기후에는 온량(溫涼)이 있으니 지리가 높으면[高] 기후가 한(寒)하고 낮으면[下] 기후가 열(熱)합니다. 그러므로 한량(寒凉)한 곳에 가면 창병(脹病)이 생기고, 온열(溫熱)한 곳에 가면 창양[瘡]이 생기는데 하법(下法)을 쓰면 창병(脹病)이 낫고 발한법(發汗法)을 쓰면 창양[瘡]이 낫습니다. 이는 사람의 주리(腠理)가 열리고 닫히는 일반적인 방식으로 태과(太過)와 불급(不及)의 차이가 있을 뿐입니다." 라고 하였다.《내경》

Huangdi (黃帝) said, "The sky lacks the northwestern direction and thus the left feels cold and the right cool; whereas the ground lacks the southeastern direction and thus the right feels hot and the left warm; Why is this so?" Qibo (岐伯) answered, "There are differences depending on yin and yang qi, geological altitude, and the size of qi The southeast pertains to yang. Because the essence of yang descends, the right side is hot whereas the left is warm. The northwest pertains to yin. Because the essence of yin ascends, the left side is cold whereas the right is cool. There are high and low places in terms of ground, and there are warm and cool qi High places have cold qi and low places have hot qi This is why one develops distention when one goes to a cold or cool place; whereas one develops sores and ulcers when one goes to a warm or hot place. Inducing diarrhea can cure distention and inducing sweat can cure sores and ulcers. This is a mere difference depending on the way the interstices open up and close and on the size of qi"《內經》

교감기 1 大小*太少 ※《황제내경ㆍ소문》 第七十 <五常政大論篇> 第2章 第1節 "歧伯曰 陰陽之氣, 高下之理, 太少之異也. "

교감기 2 大小*太少 ※《황제내경ㆍ소문》 第七十 <五常政大論篇> 第2章 第1節 "歧伯曰 陰陽之氣, 高下之理, 太少之異也. "

주석 3 고하(高下)장개빈(張介賓)은 주(注)에서 "고하(高下)란 중원의 지형을 가리키는데, 서북방은 높고 동남방은 낮다. "고 하였다. 배병철, 《황제내경ㆍ소문》, 성보사, 1994. p. 659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