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경편 권1 內景篇卷之一
1 신형 身形
2 부록:노인 봉양 附養老
3 정 精
4 기 氣
5 신 神
내경편 권2 內景篇卷之二
1 혈 血
2 꿈 夢
3 성음 聲音
4 말 言語
5 진액 津液
6 담음 痰飮
내경편 권3 內景篇卷之三
1 오장육부 五臟六腑
2 간장 肝臟
3 심장 心臟
4 비장 脾臟
5 폐장 肺臟
6 신장 腎臟
7 담부 膽腑
8 위부 胃腑
9 소장부 小腸腑
10 대장부 大腸腑
11 방광부 膀胱腑
12 삼초부 三焦腑
13 포 胞
14 충 蟲
내경편 권4 內景篇卷之四
1 소변 小便
2 대변 大便
외형편 권1 外形篇卷之一
1 머리 頭
2 얼굴 面
3 눈 眼
외형편 권2 外形篇卷之二
1 귀 耳
2 코 鼻
3 입과 혀 口舌
4 치아 牙齒
5 인후 咽喉
6 경항 頸項
7 등 背
외형편 권3 外形篇卷之三
1 가슴 胸
2 젖가슴 乳
3 배 腹
4 배꼽 臍
5 허리 腰
6 옆구리 脇
7 피부 皮
8 육 肉
9 맥 脉
10 근 筋
11 뼈 骨
외형편 권4 外形篇卷之四
1 팔 手
2 다리 足
3 모발 毛髮
4 전음 前陰
5 후음 後陰
잡병편 권1 雜病篇 卷之一
1 천지운기 天地運氣
2 심병 審病
3 변증 辨證
4 진맥 診脉
5 용약 用藥
6 토 吐
7 한 汗
8 하 下
잡병편 권2 雜病篇卷之二
1 풍 風
2
한-上
寒
잡병편 권3 雜病篇卷之三
1 한-下 寒 下
2 서 暑
3 습 濕
4 조 燥
5 화 火
잡병편 권4 雜病篇卷之四
1 내상 內傷
2 허로 虛勞
잡병편 권5 雜病篇卷之五
1 곽란 霍亂
2 구토 嘔吐
3 해수 咳嗽
잡병편 권6 雜病篇卷之六
1 적취 積聚
2 부종 浮腫
3 창만 脹滿
4 소갈 消渴
5 황달 黃疸
잡병편 권7 雜病篇卷之七
1 해학 痎瘧
2 온역 瘟疫
3 사수 邪祟
4
옹저 상
癰疽
잡병편 권8 雜病篇卷之八
1 옹저 하 癰疽 下
2 제창 諸瘡
잡병편 권9 雜病篇卷之九
1 제상 諸傷
2 해독 解毒
3 구급 救急
4 괴질 怪疾
5 잡방 雜方
잡병편 권10 雜病篇卷之十
1 부인 婦人
잡병편 권11 雜病篇卷之十一
1 소아 小兒
탕액편 권1 湯液篇卷之一
1 탕액범례 湯液序例
2 수부 水部
3 토부 土部
4 곡부 穀部
5 인부 人部
6 금부 禽部
7 수부 獸部
탕액편 권2 湯液篇卷之二
1 어부 魚部
2 충부 蟲部
3 과부 果部
4 채부 菜部
5
초부 상
草部
탕액편 권3 湯液篇卷之三
1
초부 하
草部
2 목부 木部
3 옥부 玉部
4 석부 石部
5 금부 金部
침구편 鍼灸篇
1 침구 鍼灸
1.105 𦻎薟音喜杴 진득ᄎᆞᆯ 본초
희첨 (진득찰)
Siegesbeckia Herba
1 性寒, 味苦, 有小毒. 主熱䘌煩滿. 治風痺. 有服食法. 詳見本經
성질이 차고 맛은 쓰며 독이 조금 있다. 열닉(熱䘌)으로 가슴속이 답답한 데 주로 쓴다. 풍비를 치료한다. 먹는 법은 《신농본초경》에 상세하게 나온다
The nature of this drug is cold, its taste is bitter, and it is a little poisonous. This drug is mainly used for irritability and fullness caused by genital sores due to heat. It cures wind impediments. (See 〈Shennong's Classic of Materia Medica〉 for detailed method of application)
2 處處有之. 一名火杴草. 氣如猪薟氣, 經蒸暴則散. 五月五日, 六月六日, 九月九日採莖葉, 暴乾. 《本草》
어디에나 있다. 화첨초(火杴草)라고도 한다. 돼지 냄새1와 비슷한 냄새가 나는데 쪄서 볕에 말리면 없어진다. 5월 5일ㆍ6월 6일ㆍ9월 9일에 줄기와 잎을 따서 볕에 말린다. 《본초》
This plant is everywhere. It is also called Hwaheomcho (Fire Spade Herb, 火杴草). It smells like a pig. Steam the drug and dry it under the sun in order to remove the odor. Pick up the stems and leaves on May 5th, June 6th, and September 9th, then dry them under the sun. 《本草》
주석 1 《經史證類備用本草》에 광동 토착민들이 '猪'를 '豨', '臭'를 '薟氣'라 표현하여 이렇게 이름이 붙었다고 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