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경편 권1 內景篇卷之一
1 신형 身形
2 부록:노인 봉양 附養老
3 정 精
4 기 氣
5 신 神
내경편 권2 內景篇卷之二
1 혈 血
2 꿈 夢
3 성음 聲音
4 말 言語
5 진액 津液
6 담음 痰飮
내경편 권3 內景篇卷之三
1 오장육부 五臟六腑
2 간장 肝臟
3 심장 心臟
4 비장 脾臟
5 폐장 肺臟
6 신장 腎臟
7 담부 膽腑
8 위부 胃腑
9 소장부 小腸腑
10 대장부 大腸腑
11 방광부 膀胱腑
12 삼초부 三焦腑
13 포 胞
14 충 蟲
내경편 권4 內景篇卷之四
1 소변 小便
2 대변 大便
외형편 권1 外形篇卷之一
1 머리 頭
2 얼굴 面
3 눈 眼
외형편 권2 外形篇卷之二
1 귀 耳
2 코 鼻
3 입과 혀 口舌
4 치아 牙齒
5 인후 咽喉
6 경항 頸項
7 등 背
외형편 권3 外形篇卷之三
1 가슴 胸
2 젖가슴 乳
3 배 腹
4 배꼽 臍
5 허리 腰
6 옆구리 脇
7 피부 皮
8 육 肉
9 맥 脉
10 근 筋
11 뼈 骨
외형편 권4 外形篇卷之四
1 팔 手
2 다리 足
3 모발 毛髮
4 전음 前陰
5 후음 後陰
잡병편 권1 雜病篇 卷之一
1 천지운기 天地運氣
2 심병 審病
3 변증 辨證
4 진맥 診脉
5 용약 用藥
6 토 吐
7 한 汗
8 하 下
잡병편 권2 雜病篇卷之二
1 풍 風
2
한-上
寒
잡병편 권3 雜病篇卷之三
1 한-下 寒 下
2 서 暑
3 습 濕
4 조 燥
5 화 火
잡병편 권4 雜病篇卷之四
1 내상 內傷
2 허로 虛勞
잡병편 권5 雜病篇卷之五
1 곽란 霍亂
2 구토 嘔吐
3 해수 咳嗽
잡병편 권6 雜病篇卷之六
1 적취 積聚
2 부종 浮腫
3 창만 脹滿
4 소갈 消渴
5 황달 黃疸
잡병편 권7 雜病篇卷之七
1 해학 痎瘧
2 온역 瘟疫
3 사수 邪祟
4
옹저 상
癰疽
잡병편 권8 雜病篇卷之八
1 옹저 하 癰疽 下
2 제창 諸瘡
잡병편 권9 雜病篇卷之九
1 제상 諸傷
2 해독 解毒
3 구급 救急
4 괴질 怪疾
5 잡방 雜方
잡병편 권10 雜病篇卷之十
1 부인 婦人
잡병편 권11 雜病篇卷之十一
1 소아 小兒
탕액편 권1 湯液篇卷之一
1 탕액범례 湯液序例
2 수부 水部
3 토부 土部
4 곡부 穀部
5 인부 人部
6 금부 禽部
7 수부 獸部
탕액편 권2 湯液篇卷之二
1 어부 魚部
2 충부 蟲部
3 과부 果部
4 채부 菜部
5
초부 상
草部
탕액편 권3 湯液篇卷之三
1
초부 하
草部
2 목부 木部
3 옥부 玉部
4 석부 石部
5 금부 金部
침구편 鍼灸篇
1 침구 鍼灸
4.7 粳米 됴ᄒᆞᆫ니ᄡᆞᆯ 본초
갱미(멥쌀)
Oryzae Semen
1 性平, 味甘苦, 無毒. 平胃氣, 長肌肉, 溫中止痢, 益氣除煩. 《本草》
성질이 평(平)하고 맛은 달고 쓰며 독이 없다. 위기(胃氣)를 고르게 하고 기육을 길러주며, 속을 따뜻하게 하고 이질을 멎게 하며, 기를 더하고 답답한 것을 없앤다. 《본초》
The nature is mild, the taste is sweet, and it is poison-free. It is good for balancing the stomach qi throughout the body, making the body corpulent, and warming up the inside of the body. It stops dysentery and reinforces qi which helps in the elimination of tension in the chest area. 《本草》
2 粳, 硬也, 堅硬於糯米也. 入手太陰ㆍ少陰經. 氣精皆從米變化而生, 故字皆從米. 《入門》
갱(粳)은 단단하다는 뜻으로 찹쌀보다 단단하다는 것이다. 수태음경ㆍ수소음경에 들어간다. 기(氣)와 정(精)은 모두 쌀에서 변화되어 생겨나는 것이기 때문에 글자에 모두 '미(米)'자가 들어 있다. 《입문》
The Chinese letter Gaeng (Nonglutinous rice, 粳) means solid, which is a comparative term to glutinous rice. It corresponds to the lung meridian and heart meridian. Both qi and the essence of life originate from the Oryzae Semen (粳米), which explains the fact that both, in Chinese letters, contains Mi (rice 米). 《入門》
3 作飯及粥食之. 稍生則不益脾, 過熟則佳. 《本草》
밥이나 죽을 지어먹는다. 설익은 것은 비(脾)를 보하지 못하니 푹 익은 것이 좋다. 《본초》
Cooked as steamed rice or porridge. Half cooked rice does not tonify the spleen; therefore, fully cooked Oryzae Semen (粳米) is good for health. 《本草》
4 白晩米爲第一, 早熟米不及也. 《本草》
희고 늦게 여무는 쌀이 제일 좋고, 빨리 여무는 쌀은 그보다 못하다. 《본초》
Oryzae Semen (粳米) that are white in color and late in maturing are good for health; whereas the ones that are fast to mature are not as good. 《本草》
5 卽晩米也, 霜後收者佳. 《日用》
늦게 여무는 쌀인데, 서리가 내린 이후에 거둔 것이 좋다. 《일용》
This refers to rice that ripens late. It is best when harvested after the first frost. 《日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