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경편 권1 內景篇卷之一
1 신형 身形
2 부록:노인 봉양 附養老
3 정 精
4 기 氣
5 신 神
내경편 권2 內景篇卷之二
1 혈 血
2 꿈 夢
3 성음 聲音
4 말 言語
5 진액 津液
6 담음 痰飮
내경편 권3 內景篇卷之三
1 오장육부 五臟六腑
2 간장 肝臟
3 심장 心臟
4 비장 脾臟
5 폐장 肺臟
6 신장 腎臟
7 담부 膽腑
8 위부 胃腑
9 소장부 小腸腑
10 대장부 大腸腑
11 방광부 膀胱腑
12 삼초부 三焦腑
13 포 胞
14 충 蟲
내경편 권4 內景篇卷之四
1 소변 小便
2 대변 大便
외형편 권1 外形篇卷之一
1 머리 頭
2 얼굴 面
3 눈 眼
외형편 권2 外形篇卷之二
1 귀 耳
2 코 鼻
3 입과 혀 口舌
4 치아 牙齒
5 인후 咽喉
6 경항 頸項
7 등 背
외형편 권3 外形篇卷之三
1 가슴 胸
2 젖가슴 乳
3 배 腹
4 배꼽 臍
5 허리 腰
6 옆구리 脇
7 피부 皮
8 육 肉
9 맥 脉
10 근 筋
11 뼈 骨
외형편 권4 外形篇卷之四
1 팔 手
2 다리 足
3 모발 毛髮
4 전음 前陰
5 후음 後陰
잡병편 권1 雜病篇 卷之一
1 천지운기 天地運氣
2 심병 審病
3 변증 辨證
4 진맥 診脉
5 용약 用藥
6 토 吐
7 한 汗
8 하 下
잡병편 권2 雜病篇卷之二
1 풍 風
2
한-上
寒
잡병편 권3 雜病篇卷之三
1 한-下 寒 下
2 서 暑
3 습 濕
4 조 燥
5 화 火
잡병편 권4 雜病篇卷之四
1 내상 內傷
2 허로 虛勞
잡병편 권5 雜病篇卷之五
1 곽란 霍亂
2 구토 嘔吐
3 해수 咳嗽
잡병편 권6 雜病篇卷之六
1 적취 積聚
2 부종 浮腫
3 창만 脹滿
4 소갈 消渴
5 황달 黃疸
잡병편 권7 雜病篇卷之七
1 해학 痎瘧
2 온역 瘟疫
3 사수 邪祟
4
옹저 상
癰疽
잡병편 권8 雜病篇卷之八
1 옹저 하 癰疽 下
2 제창 諸瘡
잡병편 권9 雜病篇卷之九
1 제상 諸傷
2 해독 解毒
3 구급 救急
4 괴질 怪疾
5 잡방 雜方
잡병편 권10 雜病篇卷之十
1 부인 婦人
잡병편 권11 雜病篇卷之十一
1 소아 小兒
탕액편 권1 湯液篇卷之一
1 탕액범례 湯液序例
2 수부 水部
3 토부 土部
4 곡부 穀部
5 인부 人部
6 금부 禽部
7 수부 獸部
탕액편 권2 湯液篇卷之二
1 어부 魚部
2 충부 蟲部
3 과부 果部
4 채부 菜部
5
초부 상
草部
탕액편 권3 湯液篇卷之三
1
초부 하
草部
2 목부 木部
3 옥부 玉部
4 석부 石部
5 금부 金部
침구편 鍼灸篇
1 침구 鍼灸
1.10 通草 으흐름너출 본초
통초 (통탈목, 으름덩굴1)
Tetrapanacis Medulla / Rice Paper Plant
주석 1 《동의보감》은 입문 등의 영향으로 목통과 통초를 같은 것으로 보고, 이 조항에서는 통초와 목통의 효능ㆍ특성ㆍ이명(異名)을 섞어 기록하였다. ⤴
1 性平一云微寒, 味辛甘, 無毒. 治五淋, 利小便, 開關格. 治水腫, 除煩熱, 通利九竅, 出音聲. 療脾疸常欲眠, 墮胎, 去三蟲.
성질이 평(平)하고약간 차다고도 한다 맛은 맵고 달며 독이 없다. 오림(五淋)을 치료하고 소변을 잘 나오게 하며 관격을 풀어준다. 수종을 치료하고 번열을 없애며, 구규(九竅)를 잘 통하게 하고 목소리를 나오게 한다. 비달(脾疸)로 늘 자려고만 하는 것을 치료하고, 낙태시키며, 삼충(三蟲)을 없앤다.
The nature of this drug is mild (some say cold), its taste is pungent and sweet, and it is poison-free. It cures the five stranguries, facilitates urination, and relieves blockages and repulsion. It also cures edema, eliminates vexing heat, helps the circulation of the nine orifices, and helps the voice to come out. It treats one who always tries to sleep because of spleen jaundice, causes abortions, and removes the three worms.
2 生山中, 作藤蔓, 大如指. 每節有二三枝, 枝頭出五葉, 結實如小木瓜, 核黑瓤白, 食之甘美. 謂之鷰覆子. 正月二月採枝, 陰乾. 1
산 속에서 손가락 굵기의 덩굴로 자란다. 마디마다 2~3개의 잎자루가 달리는데, 각 잎자루에는 5잎이 자라난다. 열매는 작은 모과 크기로 과핵은 검고 박 속은 흰데, 먹어 보면 아주 맛이 좋다. 이것을 연복자(鷰覆子)라고 부른다. 정월과 2월에 덩굴을 베어 그늘에서 말린다.
It grows on vines that are as thick as the fingers and in the mountains. It has 2-3 petioles in every joint and 5 leaves grow from each petiole. The fruit is the size of a small Chinese quince, the nucleus is black, and the inside of the gourd is white; it tastes very good. It is called Yeonbokja (Seed of Tetrapanacis Medulla, 鷰覆子). The vines are cut in January and February and dried in the shade.
주석 1 이 문장은 목통, 즉 으름덩굴을 말하는 것으로 통초와는 다른 것이다. 그러나 《동의보감》에서는 통초와 목통을 같은 것으로 보고 있다. ⤴
3 莖有細孔, 兩頭皆通, 含一頭吹之, 則氣出彼頭者, 良. 《本草》
줄기 내부는 가느다란 구멍이 관통하고 있다. 한쪽 구멍에 입을 대고 불면 반대편 구멍으로 공기가 관통해 나오는 것이 좋은 것이다. 《본초》
A thin hole perpendicularly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stem. The ones from which air comes out of one side of the hole when one blows in from the other side are considered good. 《本草》
4 通草卽木通也. 心空有瓣, 輕白可愛. 去皮節生用. 通行十二經, 故名爲通草. 《入門》
통초는 곧 목통이다. 줄기 가운데가 비어 있고 판이 있는데, 가볍고 희며 귀엽다. 껍질과 마디를 제거하고 생것으로 쓴다. 십이경맥을 통하게 하기 때문에 통초(通草)라고 한다. 《입문》
Tetrapanacis Medulla (通草) is Moktong (Akebiae Caulis, 木通). The center of the stem is empty and has valves; it is light, white and small. The skin and the joints are removed and the rest is used raw. It is called Tongcho (Tetrapanacis Medulla, 通草) because it helps the circulation of the twelve meridians. 《入門》
5 木通, 性平味甘而淡. 主小便不利. 導小腸熱, 通經利竅. 《湯液》
목통은 성질이 평(平)하고 맛은 달고 담백하다. 소변불리에 주로 쓴다. 소장열을 뽑아내고 월경을 통하게 하며 구규(九竅)를 잘 통하게 한다. 《탕액》
The nature of Moktong (Akebiae Caulis, 木通) is mild and its taste is sweet and plain. It treats inhibited urination. It eliminates small intestine heat, helps menstruation, and helps the circulation of the nine orifices. 《湯液》
6 木通通草, 乃一物也. 處處有之. 江原道出一種藤, 名爲木通, 色黃味苦, 瀉濕熱, 通水道, 有效. 治瘡亦效, 別是一物也. 或云, 名爲木防己, 瀉濕爲最. 《俗方》
목통과 통초는 같은 식물로 지역마다 있다. 강원도에서 목통이라고 부르는 덩굴은 노란색으로 맛이 써서 습열을 없애고 소변을 나오게 하는 효능이 있다. 창(瘡)을 치료하는 데도 효과가 있지만, 이것은 통초와는 다른 것이다. 어떤 이는 이것의 이름이 목방기(木防己)인데 습을 사하는 데 최고라고 했다. 《속방》
Moktong (Akebiae Caulis, 木通) and Tetrapanacis Medulla (通草) are the same plant and exist here and there. The vines that are called Moktong (Akebiae Caulis, 木通) in Gangwon province are yellow, bitter in taste, eliminate dampness heat, and facilitate urination. It is also effective in treating sores, but this is different from Tetrapanacis Medulla (通草). Some say the name of this plant is Mokbanggi (Tree Sinomeni Caulis et Rhizoma, 木防己) and it is the best for the purgation of dampness. 《俗方》
1.10.1 子 본초
자 (통탈목의 열매)
Fruits
1 名鷰覆子, 木通實也. 莖名木通, 又名通草. 七八月採, 性寒, 味甘. 主胃熱反胃. 除三焦客熱, 利大小便, 寬心止渴. 《本草》
연복자라고 한다. 으름덩굴의 열매이다. 줄기는 목통이라고도 하고 통초라고도 한다. 7~8월에 딴다. 성질은 차고 맛은 달다. 위열과 반위에 주로 쓴다. 삼초에 침입한 열을 없애 대소변을 잘 나오게 하고, 마음을 느긋하게 하며, 갈증을 없앤다. 《본초》
It is called Yeonbokja (Fruit of Tetrapanacis Medulla, 鷰覆子). It is the fruit of the rice paper plant. The stem is called either Moktong (Akebiae Caulis, 木通) or Tongcho (Tetrapanacis Medulla, 通草). It is picked in July and August. The nature is cold and the taste is sweet. It mostly treats stomach heat and stomach reflux. It eliminates heat that has invaded the triple energizers, helps in the discharge of feces and urine, relaxes the mind, and stops thirst. 《本草》
1.10.2 根 본초
근 (통탈목의 뿌리)
Roots
1 卽木通根也. 主項下癭瘤.
곧 목통의 뿌리이다. 목 뒷덜미 아래의 영류에 주로 쓴다.
It is the root of Moktong (Akebiae Caulis, 木通). It is used to treat goiter and tumors around the lower part of the back of the ne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