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경편 권1 內景篇卷之一
1 신형 身形
2 부록:노인 봉양 附養老
3 정 精
4 기 氣
5 신 神
내경편 권2 內景篇卷之二
1 혈 血
2 꿈 夢
3 성음 聲音
4 말 言語
5 진액 津液
6 담음 痰飮
내경편 권3 內景篇卷之三
1 오장육부 五臟六腑
2 간장 肝臟
3 심장 心臟
4 비장 脾臟
5 폐장 肺臟
6 신장 腎臟
7 담부 膽腑
8 위부 胃腑
9 소장부 小腸腑
10 대장부 大腸腑
11 방광부 膀胱腑
12 삼초부 三焦腑
13 포 胞
14 충 蟲
내경편 권4 內景篇卷之四
1 소변 小便
2 대변 大便
외형편 권1 外形篇卷之一
1 머리 頭
2 얼굴 面
3 눈 眼
외형편 권2 外形篇卷之二
1 귀 耳
2 코 鼻
3 입과 혀 口舌
4 치아 牙齒
5 인후 咽喉
6 경항 頸項
7 등 背
외형편 권3 外形篇卷之三
1 가슴 胸
2 젖가슴 乳
3 배 腹
4 배꼽 臍
5 허리 腰
6 옆구리 脇
7 피부 皮
8 육 肉
9 맥 脉
10 근 筋
11 뼈 骨
외형편 권4 外形篇卷之四
1 팔 手
2 다리 足
3 모발 毛髮
4 전음 前陰
5 후음 後陰
잡병편 권1 雜病篇 卷之一
1 천지운기 天地運氣
2 심병 審病
3 변증 辨證
4 진맥 診脉
5 용약 用藥
6 토 吐
7 한 汗
8 하 下
잡병편 권2 雜病篇卷之二
1 풍 風
2
한-上
寒
잡병편 권3 雜病篇卷之三
1 한-下 寒 下
2 서 暑
3 습 濕
4 조 燥
5 화 火
잡병편 권4 雜病篇卷之四
1 내상 內傷
2 허로 虛勞
잡병편 권5 雜病篇卷之五
1 곽란 霍亂
2 구토 嘔吐
3 해수 咳嗽
잡병편 권6 雜病篇卷之六
1 적취 積聚
2 부종 浮腫
3 창만 脹滿
4 소갈 消渴
5 황달 黃疸
잡병편 권7 雜病篇卷之七
1 해학 痎瘧
2 온역 瘟疫
3 사수 邪祟
4
옹저 상
癰疽
잡병편 권8 雜病篇卷之八
1 옹저 하 癰疽 下
2 제창 諸瘡
잡병편 권9 雜病篇卷之九
1 제상 諸傷
2 해독 解毒
3 구급 救急
4 괴질 怪疾
5 잡방 雜方
잡병편 권10 雜病篇卷之十
1 부인 婦人
잡병편 권11 雜病篇卷之十一
1 소아 小兒
탕액편 권1 湯液篇卷之一
1 탕액범례 湯液序例
2 수부 水部
3 토부 土部
4 곡부 穀部
5 인부 人部
6 금부 禽部
7 수부 獸部
탕액편 권2 湯液篇卷之二
1 어부 魚部
2 충부 蟲部
3 과부 果部
4 채부 菜部
5
초부 상
草部
탕액편 권3 湯液篇卷之三
1
초부 하
草部
2 목부 木部
3 옥부 玉部
4 석부 石部
5 금부 金部
침구편 鍼灸篇
1 침구 鍼灸
2.68 白楊樹皮 사ᄉᆞ나못겁질 본초
백양수피 (사시나무)
Cortex of Populus davidiana Dode
1 性冷, 味苦一云酸, 無毒. 主毒風, 脚氣腫. 去風痺, 消撲損瘀血作痛, 療折傷血瀝痛. 煎膏, 可續筋骨.
성질이 차고 맛은 쓰며시다고도 한다 독이 없다. 독풍(毒風)이나 각기로 부은 데 주로 쓴다. 풍비를 없애고, 넘어지거나 다쳐서 어혈이 생겨 아픈 것을 풀어 주며, 부러져서 피 흘리면서 아픈 것을 치료한다. 달여서 고약을 만들면 근골을 이을 수 있다.
The nature of this drug is cold, its taste is bitter (some say sour), and it is poison-free. It is mostly used to treat toxic wind or swelling caused by beriberi. It eliminates wind numbness, alleviates static blood-induced pain caused by tripping or injuries, and cures bleeding and pain caused by broken body parts. It can connect the muscles and bones if made into ointment by boiling it down.
2 處處有之. 木身微白, 故曰白楊. 葉面靑背白, 體圓蔕弱, 微風大搖. 古人多種於墟墓間. 《本草》
어디에나 있다. 몸통이 약간 희기 때문에 백양(白楊)이라고 한다. 잎은 원형이면서 앞면은 푸르고 뒷면은 흰데, 잎자루가 약해 미풍에도 크게 흔들린다. 옛 사람들이 흔히 묘지에 심었다. 《본초》
It can be found here and there. It is also called Baekyang (White Willow, 白楊) because its body is slightly white. The leaves are circular, have bluish front sides, and white back sides. The petiole is so weak that it sways a lot even in a gentle breeze. Ancient people commonly planted this in graveyards. 《本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