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湯液篇卷之一 穀部 小麥 밀

4.13 小麥 밀 본초

소맥(밀)

Tritici Semen

1 性微寒一云平, 味甘, 無毒. 主除煩熱少睡, 止燥渴, 利小便, 養肝氣. 《本草》

성질이 약간 차고평(平)하다고도 한다 맛은 달며 독이 없다. 번열로 잠을 잘 자지 못하는 것을 없애고 갈증을 멎게 하며, 소변을 잘 나오게 하고 간기(肝氣)를 기르는 데 주로 쓴다. 《본초》

The nature is mildly cold (some say mild), the taste is sweet, and it is poison-free. It eliminates vexing heat in the chest area, stops thirst, allows smooth urination, and raises the qi of the liver. 《本草》

2 小麥, 皮寒, 肉熱, 合湯皆完用之. 不許皮拆, 拆則溫, 明麪不能消熱止煩也. 《本草》

밀은 껍질은 차고 낟알은 뜨거우니 껍질째 탕에 넣어 쓴다. 이 때 껍질이 터지면 안 된다. 터지면 성질이 따뜻해진다. 그러므로 밀가루는 번열을 없앨 수 없음이 명백하다. 《본초》

The peelings of Tritici Semen (小麥) are cold, and the grain inside is hot in nature. So it must be used as a whole in medicine, and the peelings must remain intact because the grain's nature turns warm if the peelings are damaged. From this, it is clear that Tritici Semen (小麥) does not cure vexing heat in the chest area. 《本草》

3 秋種夏熟, 受四時氣足, 自然兼有寒溫, 麪熱, 麩冷, 宜其然也. 《本草》

가을에 파종해서 여름에 익어 사계절의 기운을 다 받으니 자연히 한기(寒氣)와 온기(溫氣)를 겸하여 가진다. 그러므로 밀가루는 뜨겁고 밀기울이 찬 것은 당연한 것이다. 《본초》

Its seeds are sown in autumn, and ripen in summer; therefore, they receive qi from all four seasons. Therefore, it is natural that the seeds have both cold qi and warm qi, and it is obvious that wheat is hot in nature whereas the wheat bran is cold in nature. 《本草》

4 凡麥, 秋種, 冬長, 春秀, 夏實, 具四時中和之氣. 故爲五穀之貴. 地煖處亦可春種, 至夏便收, 受氣不足, 故有毒, 而麪性亦冷也. 《本草》

밀은 가을에 파종해서 겨울에 자라고 봄에 이삭이 패이고 여름에 알곡이 들어차니 사계절의 중화로운 기운을 갖추었다. 그러므로 오곡 가운데 귀한 것이 된다. 따뜻한 지방에서는 봄에 파종하여 여름에 수확하기도 하나, 기운 받는 것이 부족하므로 독이 있고 밀가루의 성질도 차다. 《본초》

Tritici Semen (小麥) is sown in autumn, grows in winter, blooms in spring, and ripens in summer. This implies that Tritici Semen (小麥) has the balanced qi of all four seasons, which makes it even more precious among the five grains. Some regions with the warm climate sow it in spring and harvest it in summer, but this kind contains poison and is cold in nature since it receives less qi from nature. 《本草》

4.13.1 麪 밀ᄀᆞᄅᆞ 본초

면(밀가루)

Powder of Tritici Semen / Wheat Powder

1 性溫, 味甘. 補中益氣, 厚腸胃, 强氣力, 助五藏. 久食實人. 《本草》

성질이 따뜻하고 맛이 달다. 중기를 보하고 장위(腸胃)를 두텁게 하며, 기력을 강하게 하고 오장을 돕는다. 오래 먹으면 사람을 튼튼하게 한다. 《본초》

The nature is warm and the taste is sweet. It tonifies the middle qi, reinforces the intestines and stomach, strengthens qi and blood, and helps the five viscera. It helps maintain good health, if taken for a long time. 《本草》

2 小麥性寒, 作麪則溫而有毒. 《本草》

밀은 성질이 차지만, 밀가루로 만들면 따뜻하고 독이 있다. 《본초》

Wheat powder is warm in nature and poisonous even though the wheat itself is cold in nature. 《本草》

3 麪有熱毒者, 多是陳黦之色, 又爲磨中石末在內故也. 杵食卽良. 《本草》

밀가루에 열독이 있는 것은 대부분 오래되어 색이 바랬거나, 밀가루로 가는 도중에 돌가루가 섞였기 때문이다. 절구에 찧어 먹는 것이 좋다. 《본초》

The reason wheat powder contains toxic heat is because fading of the color occurs or because ground stones were mixed with the wheat powder. It is best to pound the wheat in a mortar to be used as food. 《本草》

4 麪性壅熱, 少動風氣. 《本草》

밀가루는 열을 몰리게 해서 풍기를 약간 동하게 한다. 《본초》

Wheat powder induces an inclination of heat inside the body, which could cause mild Wind. 《本草》

4.13.2 寒食麪 한식날ᄆᆡᆼ근밀ᄀᆞᄅᆞ국슈 본초

한식면(한식날 만든 밀가루 국수)

Noodle Made with Wheat Powder at Hansik

1 謂寒食日煮喫麪, 取之以焙乾, 貯用. 能破積行氣. 《綱目》

한식날에 끓여 먹는 밀가루를 가리킨다. 불에 쬐어 말린 후에 저장해서 쓴다. 적(積)을 깨뜨리고 기를 잘 돌게 한다. 《강목》

It refers to the wheat powder cooked on the day of Hansik (the 105th day after the winter solstice on which sacrificial food is offered at the ancestral tombs, 寒食). It is stored for use after being dried under the fire. It breaks apart accumulations inside the body and allows the smooth circulation of the qi in the body. 《綱目》

4.13.3 麴 누룩 본초

국(누룩)

Yeast

1 性大煖一云溫, 味甘. 平胃, 消穀, 止痢. 《本草》

성질이 아주 따뜻하고따뜻하다고도 한다 맛이 달다. 위기(胃氣)를 고르게 하고 곡식을 소화시키며 이질을 멎게 한다. 《본초》

The nature is very warm (some say just warm) and the taste is sweet. It balances the stomach qi, helps in the digestion of the grains, and cures diarrhea. 《本草》

2 女麴, 完小麥爲之, 一名䴷音桓子, 黃蒸磨小麥爲之, 一名黃衣, 幷消食. 《本草》

여국(女麴)은 밀을 껍질째 사용해서 만드는데 환자(䴷子)라고 한다. 밀을 누렇게 찌고 갈아서 만든 것은 황의(黃衣)라고 한다. 모두 음식을 소화시킨다. 《본초》

Yeoguk (Tritici Semen, 女麴) is made with the whole grain of wheat including the husk. It is also called Hwanjahwang (䴷, Yellow Basket). The kind made with steamed and grounded wheat is called Hwang Ui (黃衣, Barley Malt, Tritici Semen). These are all good for digestion. 《本草》

3 麥麴, 止河魚之腹疾. 《左傳》

보리누룩은 복어로 인한 뱃속의 병을 멎게 한다. 《좌전》

The yeast of barley cures the abdominal symptoms caused by poisoning from swellfish. 《左傳》

4 六月作者良. 陳久者入藥用之, 當炒令香. 《本草》

6월에 만든 것이 좋다. 오래된 것을 약에 넣어 쓰는데, 쓸 때 향이 나게 볶아서 쓴다. 《본초》

Yeast made in June has the highest quality. The old ones are used in medicines, and they are fried to induce aroma. 《本草》

4.13.4 神麴 약의드ᄂᆞᆫ누룩 본초

신국(약에 쓰는 누룩)

Yeast used in medicine

1 性煖一云溫, 味甘, 無毒. 開胃健脾, 消化水穀. 止霍亂泄瀉, 痢下赤白, 破癥結, 下痰逆胸滿, 腸胃中塞, 飮食不下, 落胎, 下鬼胎. 《本草》

성질이 따뜻하고[煖]따뜻하다[溫]고도 한다 맛은 달며 독이 없다. 식욕을 돋우고 비(脾)를 튼튼하게 하며 수곡을 소화시킨다. 곽란ㆍ설사ㆍ적백하리를 멎게 하고 징가(癓瘕)를 깨뜨리며, 담(痰)이 가슴으로 치고 올라와 가슴이 그득한 것과 장위(腸胃)가 막혀서 음식이 내려가지 못하는 것을 내리며, 낙태시키고 귀태(鬼胎)를 내린다. 《본초》

The nature is mildly hot 煖 (some way warm 溫), the taste is sweet and it is poison-free. It stimulates appetite, keeps the spleen healthy, and helps in the digestion of food. It cures intestinal convulsion, diarrhea, and dysentery with bloody pus, breaks an abdominal mass, takes down the phlegm inside the chest and food blockages inside the intestines, induces abortions, and takes out the dead fetus from the womb. 《本草》

2 入藥, 炒令香, 火炒以助天五之氣. 入足陽明經. 《湯液》

약에 넣을 때는 향이 날 정도로 볶는데, 불로 볶아 천오(天五)의 기운을 도와주려는 것이다. 족양명경에 들어간다. 《탕액》

Yeast used as medicine must be fried until it releases an aroma. When fried on a fire, it helps the qi of the Universal Five (refers to the Earth qi, and the spleen-stomach system in the body, 天五) and corresponds to the stomach meridian. 《湯液》

3 紅麴, 活血消食止痢, 疑是神麴也. 《入門》

홍국(紅麴)은 혈을 잘 돌아가게 하고 소화시키며 이질을 멎게 한다. 아마도 이것이 신국인 것 같다. 《입문》

Red yeast helps the smooth circulation of the blood, induces good digestion, and stops dysentery. This must be the Singuk (神麴, The Yeast Used in Medicine) already mentioned. 《入門》

4 造神麴法, 詳見雜方

신국을 만드는 법은 잡방문에 자세히 나와 있다.

The method of making the yeast used in medicine is mentioned in detail in the Various Prescriptions (雜方門).

4.13.5 麩 밀기울 본초

부(밀기울)

Wheat Bran

1 性寒一云涼, 味甘, 無毒. 調中去熱, 治熱瘡, 湯火瘡爛, 撲損折傷瘀血. 《本草》

성질이 차고서늘하다고도 한다 맛은 달며 독이 없다. 속을 고르게 하고 열을 없애며, 열창(熱瘡)과 탕화창(湯火瘡)으로 짓무른 것을 치료하며, 얻어맞거나 부러져서 멍든 것을 치료한다. 《본초》

The nature is cold (some say cool), the taste is sweet, and it is poison-free. It balances the insides, eliminates heat, cures herpes simplex, burns, and bruises from getting hit or falling. 《本草》

2 麥屬陽, 麩之性涼. 《丹心》

밀은 양에 속하지만, 밀기울의 성질은 서늘하다. 《단심》

Wheat, or Tritici Semen (小麥), falls under the yang category. However, the nature of wheat bran belongs to yin. 《丹心》

3 麪熱麩涼. 《丹心》

밀가루는 뜨겁고 밀기울은 서늘하다. 《단심》

Wheat is hot and wheat bran is cool. 《丹心》

4.13.6 浮小麥 주근밀 본초

부소맥(밀쭉정이)

Empty Head of Grain of Tritici Semen

1 養心, 同大棗煎, 止盜汗. 《醫鑑》

심을 길러주니. 대추와 함께 달이면 도한을 멎게 한다. 《의감》

Raises the qi of the heart. Stops the symptom of night sweating when decocted with Jujube (大棗). 《醫鑑》

2 止盜汗. 治大小人骨蒸肌熱, 婦人勞熱. 微炒用之. 《入門》

도한을 멎게 한다. 어른과 아이의 골증열이나 기열(肌熱), 부인의 허로로 인한 열을 치료한다. 약간 볶아서 쓴다. 《입문》

Stops night sweating. Also cures symptoms of fever due to bone steaming, fever on the skin, and fever due to fatigue in women. Used slightly fried. 《入門》

4.13.7 小麥苗 밀ᄀᆞᆮᄌᆞ란삭 본초

소맥묘(밀의 갓 자란 싹)

Tritici Novella

1 性寒一云涼, 味辛, 無毒. 消酒毒暴熱, 主黃疸目黃, 退膈熱, 利小腸. 絞取汁服之. 《本草》

성질이 차고서늘하다고도 한다 맛은 매우며 독이 없다. 술독과 갑자기 고열이 나는 것을 없앤다. 황달로 눈이 누렇게 된 것에 주로 쓴다. 흉격의 열을 없애고 소장을 잘 통하게 한다. 즙을 짜서 복용한다. 《본초》

The nature is cold (some say cool), the taste is spicy, and it is poison-free. Eliminates poison due to drinking and sudden high fever. Mostly used for yellow eyes due to jaundice. Eliminates heat in the thoracic area and induces the smooth circulation of the small intestines. The juice of the new bud is used. 《本草》

4.13.8 小麥奴 밀감보기 본초

소맥노(밀깜부기)

Ustilago

1 主熱煩, 解天行熱毒. 《本草》

번열에 주로 쓴다. 유행성 열독을 풀어준다. 《본초》

Used mostly in curing vexing heat, it detoxifies contagious feverpoison. 《本草》

2 卽小麥苗上黑黴也. 《本草》

갓 나온 밀 이삭 위의 검은 곰팡이이다. 《본초》

This refers to the black moss formed on a new bud of wheat. 《本草》

3 小麥未熟時, 䕺中不成麥, 捻之成黑勃者, 是也. 《綱目》

밀이 아직 덜 익었을 때 익지 않은 밀 이삭을 비틀면 검게 일어나는 것이 이것이다. 《강목》

This refers to the black thing growing on the bud when the immature wheat is broken. 《綱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