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경편 권1 內景篇卷之一
1 신형 身形
2 부록:노인 봉양 附養老
3 정 精
4 기 氣
5 신 神
내경편 권2 內景篇卷之二
1 혈 血
2 꿈 夢
3 성음 聲音
4 말 言語
5 진액 津液
6 담음 痰飮
내경편 권3 內景篇卷之三
1 오장육부 五臟六腑
2 간장 肝臟
3 심장 心臟
4 비장 脾臟
5 폐장 肺臟
6 신장 腎臟
7 담부 膽腑
8 위부 胃腑
9 소장부 小腸腑
10 대장부 大腸腑
11 방광부 膀胱腑
12 삼초부 三焦腑
13 포 胞
14 충 蟲
내경편 권4 內景篇卷之四
1 소변 小便
2 대변 大便
외형편 권1 外形篇卷之一
1 머리 頭
2 얼굴 面
3 눈 眼
외형편 권2 外形篇卷之二
1 귀 耳
2 코 鼻
3 입과 혀 口舌
4 치아 牙齒
5 인후 咽喉
6 경항 頸項
7 등 背
외형편 권3 外形篇卷之三
1 가슴 胸
2 젖가슴 乳
3 배 腹
4 배꼽 臍
5 허리 腰
6 옆구리 脇
7 피부 皮
8 육 肉
9 맥 脉
10 근 筋
11 뼈 骨
외형편 권4 外形篇卷之四
1 팔 手
2 다리 足
3 모발 毛髮
4 전음 前陰
5 후음 後陰
잡병편 권1 雜病篇 卷之一
1 천지운기 天地運氣
2 심병 審病
3 변증 辨證
4 진맥 診脉
5 용약 用藥
6 토 吐
7 한 汗
8 하 下
잡병편 권2 雜病篇卷之二
1 풍 風
2
한-上
寒
잡병편 권3 雜病篇卷之三
1 한-下 寒 下
2 서 暑
3 습 濕
4 조 燥
5 화 火
잡병편 권4 雜病篇卷之四
1 내상 內傷
2 허로 虛勞
잡병편 권5 雜病篇卷之五
1 곽란 霍亂
2 구토 嘔吐
3 해수 咳嗽
잡병편 권6 雜病篇卷之六
1 적취 積聚
2 부종 浮腫
3 창만 脹滿
4 소갈 消渴
5 황달 黃疸
잡병편 권7 雜病篇卷之七
1 해학 痎瘧
2 온역 瘟疫
3 사수 邪祟
4
옹저 상
癰疽
잡병편 권8 雜病篇卷之八
1 옹저 하 癰疽 下
2 제창 諸瘡
잡병편 권9 雜病篇卷之九
1 제상 諸傷
2 해독 解毒
3 구급 救急
4 괴질 怪疾
5 잡방 雜方
잡병편 권10 雜病篇卷之十
1 부인 婦人
잡병편 권11 雜病篇卷之十一
1 소아 小兒
탕액편 권1 湯液篇卷之一
1 탕액범례 湯液序例
2 수부 水部
3 토부 土部
4 곡부 穀部
5 인부 人部
6 금부 禽部
7 수부 獸部
탕액편 권2 湯液篇卷之二
1 어부 魚部
2 충부 蟲部
3 과부 果部
4 채부 菜部
5
초부 상
草部
탕액편 권3 湯液篇卷之三
1
초부 하
草部
2 목부 木部
3 옥부 玉部
4 석부 石部
5 금부 金部
침구편 鍼灸篇
1 침구 鍼灸
2.25 漿水 조ᄡᆞᆯ쥭욷믈 본초
장수(좁쌀죽 윗물)
Setariae Puls Fermenti Concoctio / Water From Upper Layer of Hulled Millet Grueli Concoctio
1 性微溫, 味甘酸, 無毒. 止渴, 霍亂泄利, 解煩去睡. 《本草》
성질이 약간 따뜻하고 맛은 달고 시며 독이 없다. 갈증을 멎게 하고 곽란으로 설사하는 것을 치료한다. 답답한 것을 풀어주고 졸리는 것을 없앤다. 《본초》
The nature is slightly warm, the taste is sweet and sour, and it is poison-free. It quenches thirst and treats diarrhea due to intestinal convulsion. It resolves tightness in the chest and stops drowsiness. 《本草》
2 粟米, 新熟, 白花者, 佳. 《本草》
좁쌀은 갓 익혀서 흰 꽃 같은 것이 생긴 것이 좋다. 《본초》1
The hulled millet is good when it is just ripe and is covered with a white layer. 《本草》
주석 1 《본초강목》에 "酸漿. 嘉謨曰︰漿, 酢也. 炊粟米熱, 投冷水中, 浸五六日, 味酢, 生白花, 色類漿, 故名. 若浸至敗者, 害人. 산장(酸漿). 진가모(陳嘉謨)는 "장(漿)은 식초이다. 좁쌀로 밥을 지어 익힌 다음 찬 물 속에 넣어 두는데, 5-6일 담가 두면 식초 맛이 나고 흰 꽃이 생기며, 색이 장과 유사하므로 장수라고 이름 지었다. 썩을 때까지 담그면 사람을 해친다. "라고 하였다. "라고 되어 있다. ⤴
3 卽俗間煮粟米粥淸也. 《本草》
끓인 좁쌀죽의 맑은 윗물이다. 《본초》
It is the clear upper layer of water in a hulled millet gruel. 《本草》
4 熟水漬生米爲之, 味酢. 夏月浸井中如氷冷, 北方飮以祛暑. 《杜註》
끓인 물에 생 좁쌀을 담가 두어 맛이 시게 한 것이다. 여름에 우물에 담가 두면 얼음처럼 차가워지는데, 북방에서는 이것을 마셔 더위를 쫓는다. 《두주》
It is boiled water with raw hulled millet soaked in. It tastes sour. When kept in a well in summer, it becomes as cold as ice. In the north region, it is taken to fight heat. 《杜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