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경편 권1 內景篇卷之一
1 신형 身形
2 부록:노인 봉양 附養老
3 정 精
4 기 氣
5 신 神
내경편 권2 內景篇卷之二
1 혈 血
2 꿈 夢
3 성음 聲音
4 말 言語
5 진액 津液
6 담음 痰飮
내경편 권3 內景篇卷之三
1 오장육부 五臟六腑
2 간장 肝臟
3 심장 心臟
4 비장 脾臟
5 폐장 肺臟
6 신장 腎臟
7 담부 膽腑
8 위부 胃腑
9 소장부 小腸腑
10 대장부 大腸腑
11 방광부 膀胱腑
12 삼초부 三焦腑
13 포 胞
14 충 蟲
내경편 권4 內景篇卷之四
1 소변 小便
2 대변 大便
외형편 권1 外形篇卷之一
1 머리 頭
2 얼굴 面
3 눈 眼
외형편 권2 外形篇卷之二
1 귀 耳
2 코 鼻
3 입과 혀 口舌
4 치아 牙齒
5 인후 咽喉
6 경항 頸項
7 등 背
외형편 권3 外形篇卷之三
1 가슴 胸
2 젖가슴 乳
3 배 腹
4 배꼽 臍
5 허리 腰
6 옆구리 脇
7 피부 皮
8 육 肉
9 맥 脉
10 근 筋
11 뼈 骨
외형편 권4 外形篇卷之四
1 팔 手
2 다리 足
3 모발 毛髮
4 전음 前陰
5 후음 後陰
잡병편 권1 雜病篇 卷之一
1 천지운기 天地運氣
2 심병 審病
3 변증 辨證
4 진맥 診脉
5 용약 用藥
6 토 吐
7 한 汗
8 하 下
잡병편 권2 雜病篇卷之二
1 풍 風
2
한-上
寒
잡병편 권3 雜病篇卷之三
1 한-下 寒 下
2 서 暑
3 습 濕
4 조 燥
5 화 火
잡병편 권4 雜病篇卷之四
1 내상 內傷
2 허로 虛勞
잡병편 권5 雜病篇卷之五
1 곽란 霍亂
2 구토 嘔吐
3 해수 咳嗽
잡병편 권6 雜病篇卷之六
1 적취 積聚
2 부종 浮腫
3 창만 脹滿
4 소갈 消渴
5 황달 黃疸
잡병편 권7 雜病篇卷之七
1 해학 痎瘧
2 온역 瘟疫
3 사수 邪祟
4
옹저 상
癰疽
잡병편 권8 雜病篇卷之八
1 옹저 하 癰疽 下
2 제창 諸瘡
잡병편 권9 雜病篇卷之九
1 제상 諸傷
2 해독 解毒
3 구급 救急
4 괴질 怪疾
5 잡방 雜方
잡병편 권10 雜病篇卷之十
1 부인 婦人
잡병편 권11 雜病篇卷之十一
1 소아 小兒
탕액편 권1 湯液篇卷之一
1 탕액범례 湯液序例
2 수부 水部
3 토부 土部
4 곡부 穀部
5 인부 人部
6 금부 禽部
7 수부 獸部
탕액편 권2 湯液篇卷之二
1 어부 魚部
2 충부 蟲部
3 과부 果部
4 채부 菜部
5
초부 상
草部
탕액편 권3 湯液篇卷之三
1
초부 하
草部
2 목부 木部
3 옥부 玉部
4 석부 石部
5 금부 金部
침구편 鍼灸篇
1 침구 鍼灸
3.20 咳逆證
딸꾹질
Hiccups
1 咳逆, 一曰吃逆, 乃氣病也. 氣自臍下, 直衝上出於口而作聲之名也. 內經曰, 諸逆衝上, 皆屬於火. 古方, 悉以胃弱言之, 而不及火. 且以丁香ㆍ柿蔕ㆍ竹茹ㆍ陳皮等劑治之, 未審孰爲降火, 孰爲補虛. 人之陰氣, 依胃爲養, 胃土損傷, 則木來侮之矣. 陰爲火所乘, 不得內守, 木挾相火乘之, 故直衝淸道而上. 言胃弱者, 陰弱也. 虛之甚也. 《丹心》
해역을 딸꾹질[吃逆]이라고도 하는데, 기병(氣病)이다. 기가 배꼽 아래에서 곧바로 입으로 치밀어 올라서 소리가 나는 것이다. 《내경》에, "모든 궐역으로 위로 치받는 것은 다 화에 속한다"고 하였으나 고방(古方)에서는 모두 위약(胃弱)만 언급하고 화를 언급하지는 않았다. 또한 정향ㆍ시체ㆍ죽여ㆍ진피 같은 약으로 치료한다고 했을 뿐, 어느 것이 화를 내리고 어느 것이 허를 보하는 것인지 밝히지도 않았다. 사람의 음기는 위(胃)에 의지하여 길러진다. 위토(胃土)가 상하면 목(木)이 와서 업신여기게 되고, 음이 화에 억눌려 안으로 지키지 못하니, 목이 상화(相火)를 끼고 와서 억누르기 때문에 숨구멍을 바로 치받으면서 올라오는 것이다. 위약(胃弱)은 음이 약한 것을 말한 것으로 매우 허한 것이다. 《단심》
A cough with dyspnea is also called hiccups; it is a disease of qi. Sound is induced by thrusting up of qi from below the navel directly to the mouth. The Inner Classic (內經) says, "All reversal qi that induce thrusting up of qi pertain to Fire." However, in ancient prescriptions, only stomach weakness is mentioned and not Fire. Also, it is only said that drugs such as Syzygii Flos (丁香), Peduncle of persimmon, Bambusae Caulis in Taeniam (竹茹) and Citrus Unshius Pericarpium (陳皮) are used, and it is not mentioned which suppress Fire and which tonify the deficiency. Yin qi of a person is nurtured with the help of the stomach. When the stomach Earth is damaged, Wood despises it. Because yin is suppressed by Fire and loses the ability to guard the inside, and Wood suppresses alongside with ministerial Fire, qi thrusts upward to the throat. Stomach weakness refers to a weakness of yin. It indicates an extreme deficiency. 《丹心》
2 孫眞人云, 咳逆, 遍尋方論, 無此名稱. 盖咳逆者, 噦逆之名, 古人以咳逆爲噦耳. 大抵咳逆者, 卽內經所謂, 病甚者其聲噦, 是也. 啘者, 今人所謂, 乾嘔, 是也. 《類聚》
손진인이, "여러 책을 찾아보아도 해역이라는 명칭이 없다. 해역은 얼역(噦逆)의 이명이니, 고인들은 해역을 딸꾹질로 보았다"고 하였다. 대개 해역은 《내경》에서 말하는 '병이 깊은 사람은 딸꾹질을 한다'고 할 때의 딸꾹질을 말한다. 한편 '완(啘)'은 요즘 사람들이 말하는 헛구역질[乾嘔]이다. 《유취》
Sun Simiao (孫思邈) said, "I have looked up many books, but there is no such term as Hae-yeok (咳逆, hiccups). Hae-yeok (咳逆, hiccups) is another name for Eol-yeok (噦逆, hiccups). Ancient people saw Hae-yeok (咳逆, hiccups) as hiccups." Generally Hae-yeok (咳逆, hiccups) refers to the hiccups mentioned in the sentence 'One who has a severe illness of hiccups' in the Inner Classic (內經). Meanwhile, 'Wan (啘, vomiturition)' is what is now known as dry retching. 《類聚》
3 咳逆者, 氣逆上衝而作聲也. 俗謂之𩚚逆, 是也. 其發也, 或三五聲而止, 或七八聲而止, 或有連續不絶, 收氣不回者. 或有病久, 脾胃衰敗而發咳逆, 額上出汗, 連聲不絶者, 最爲惡候, 乃不治之證也. 《醫鑑》
해역이라는 것은 기가 거슬러 올라 치받아서 나는 소리로, 민간에서 말하는 딸꾹질이다. 이것이 발작할 때는 혹 3~5번 소리가 난 후 멎거나, 7~8번 소리가 난 후 멎거나, 끊어지지 않고 계속되어 숨을 돌릴 틈이 없다. 간혹 오래된 병으로 비위가 쇠하여 딸꾹질이 끊어지지 않고 계속 나오기도 하는데, 이것이 가장 나쁜 증후로 치료할 수 없는 증상이다. 《의감》
Hae-yeok (咳逆, hiccups) is the sound made by the thrusting up of qi. It is commonly known as hiccups. When one has this, the sounds of hiccups are heard 3-5 times before it stops, sometimes 7-8 times, and sometimes incessantly, giving the patient no rest. Sometimes hiccups are induced incessantly because of a weak spleen and stomach induced by a long-lasting illness; this is the worst case that cannot be cured. 《醫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