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경편 권1 內景篇卷之一
1 신형 身形
2 부록:노인 봉양 附養老
3 정 精
4 기 氣
5 신 神
내경편 권2 內景篇卷之二
1 혈 血
2 꿈 夢
3 성음 聲音
4 말 言語
5 진액 津液
6 담음 痰飮
내경편 권3 內景篇卷之三
1 오장육부 五臟六腑
2 간장 肝臟
3 심장 心臟
4 비장 脾臟
5 폐장 肺臟
6 신장 腎臟
7 담부 膽腑
8 위부 胃腑
9 소장부 小腸腑
10 대장부 大腸腑
11 방광부 膀胱腑
12 삼초부 三焦腑
13 포 胞
14 충 蟲
내경편 권4 內景篇卷之四
1 소변 小便
2 대변 大便
외형편 권1 外形篇卷之一
1 머리 頭
2 얼굴 面
3 눈 眼
외형편 권2 外形篇卷之二
1 귀 耳
2 코 鼻
3 입과 혀 口舌
4 치아 牙齒
5 인후 咽喉
6 경항 頸項
7 등 背
외형편 권3 外形篇卷之三
1 가슴 胸
2 젖가슴 乳
3 배 腹
4 배꼽 臍
5 허리 腰
6 옆구리 脇
7 피부 皮
8 육 肉
9 맥 脉
10 근 筋
11 뼈 骨
외형편 권4 外形篇卷之四
1 팔 手
2 다리 足
3 모발 毛髮
4 전음 前陰
5 후음 後陰
잡병편 권1 雜病篇 卷之一
1 천지운기 天地運氣
2 심병 審病
3 변증 辨證
4 진맥 診脉
5 용약 用藥
6 토 吐
7 한 汗
8 하 下
잡병편 권2 雜病篇卷之二
1 풍 風
2
한-上
寒
잡병편 권3 雜病篇卷之三
1 한-下 寒 下
2 서 暑
3 습 濕
4 조 燥
5 화 火
잡병편 권4 雜病篇卷之四
1 내상 內傷
2 허로 虛勞
잡병편 권5 雜病篇卷之五
1 곽란 霍亂
2 구토 嘔吐
3 해수 咳嗽
잡병편 권6 雜病篇卷之六
1 적취 積聚
2 부종 浮腫
3 창만 脹滿
4 소갈 消渴
5 황달 黃疸
잡병편 권7 雜病篇卷之七
1 해학 痎瘧
2 온역 瘟疫
3 사수 邪祟
4
옹저 상
癰疽
잡병편 권8 雜病篇卷之八
1 옹저 하 癰疽 下
2 제창 諸瘡
잡병편 권9 雜病篇卷之九
1 제상 諸傷
2 해독 解毒
3 구급 救急
4 괴질 怪疾
5 잡방 雜方
잡병편 권10 雜病篇卷之十
1 부인 婦人
잡병편 권11 雜病篇卷之十一
1 소아 小兒
탕액편 권1 湯液篇卷之一
1 탕액범례 湯液序例
2 수부 水部
3 토부 土部
4 곡부 穀部
5 인부 人部
6 금부 禽部
7 수부 獸部
탕액편 권2 湯液篇卷之二
1 어부 魚部
2 충부 蟲部
3 과부 果部
4 채부 菜部
5
초부 상
草部
탕액편 권3 湯液篇卷之三
1
초부 하
草部
2 목부 木部
3 옥부 玉部
4 석부 石部
5 금부 金部
침구편 鍼灸篇
1 침구 鍼灸
4.7 癰疽當分內外
옹저에는 내외를 구분해야 한다
With Abscesses and Carbuncles, Differentiate the Exterior Pattern from the Interior Pattern
1 癰疽發於內者, 當審藏府. 如中府隱隱而痛者, 肺疽, 上肉微起者, 肺癰也. 巨闕屬心, 期門屬肝, 章門屬脾, 京門屬腎, 中脘屬胃, 天樞屬大腸, 關元屬小腸, 丹田屬三焦. 若有上證, 皆倣此辨之. 《靈樞》
옹저가 속에서 생기면 반드시 장부를 살펴야 한다. 중부(中府)가 은은히 아픈 것은 폐저이고, 그 위의 살이 약간 올라온 것은 폐옹이다. 거궐은 심에 속하고, 기문은 간에 속하며, 장문은 비에 속하고, 경문은 신에 속하며, 중완은 위(胃)에 속하고, 천추는 대장에 속하며, 관원은 소장에 속하고, 단전은 삼초에 속한다. 앞의 증상이 있으면 모두 이에 따라 구분한다. 《영추》
If abscesses and carbuncles (癰疽) have formed in the interior, examine the viscera and bowels. If there is dull pain in LU1 (中府), it is pulmonary cellulitis (肺疽); if there is a little lump of flesh formed on it, it is a lung abscess (肺癰). CV14 pertains to the heart, LR14 pertains to the liver, LR13 pertains to the spleen, GB25 pertains to the kidneys, CV12 pertains to the stomach, ST25 pertains to the large intestine, CV4 pertains to the small intestine, and the cinnabar field pertains to the triple energizer. If the symptoms mentioned above occur, differentiate the patterns according to this. 《靈樞》
2 發於腔子之內者, 曰內疽, 曰肺癰ㆍ心癰ㆍ肝癰ㆍ腎癰ㆍ胃脘癰ㆍ腸癰.
몸통 속에 생기는 것을 내저라고 한다. 여기에는 폐옹ㆍ심옹ㆍ간옹ㆍ신옹ㆍ위완옹ㆍ장옹이 있다.
What is formed in the body is called internal cellulitis (內疽). In this category, there are lung abscesses (肺癰), cardiac carbuncles, liver abscesses, kidney carbuncles, abscesses of the gastric cavity, and intestinal abscesses.
3 發於腔子之外者, 曰腦發ㆍ背發ㆍ鬢發ㆍ眉發ㆍ頤發ㆍ顋頷發ㆍ髭發ㆍ腋發ㆍ穿當1發下部也ㆍ腿發ㆍ喉癰ㆍ臍癰ㆍ𩣔馬癰ㆍ囊癰ㆍ乳癰也. 《正傳》
몸통 밖에서 생기는 것으로 뇌발(腦發)ㆍ배발(背發)ㆍ빈발(鬢發)ㆍ미발(眉發)ㆍ이발(頤發)ㆍ시함발(顋頷發)ㆍ자발(髭發)ㆍ액발(腋發)ㆍ천당발(穿襠發)복강의 하부에 생긴다ㆍ퇴발(腿發)ㆍ후옹(喉癰)ㆍ제옹(臍癰)ㆍ과마옹(𩣔馬癰)ㆍ낭옹(囊癰)ㆍ유옹(乳癰)이 있다. 《정전》
What is formed outside the body includes carbuncles on the vertex (腦發), carbuncles and cellulitis of the back (背發), hair on the temple (鬢發), eyebrow phlegmon (眉發), retroauricular boils (頤發), carbuncles below the cheeks and on the jaw (顋頷發), swollen cheeks (髭發), carbuncles on the forehead (腋發), cellulitis between the testis and anus (穿當發) it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abdominal cavity, carbuncles on SP11 (腿發), throat abscesses (喉癰), umbilical abscesses, carbuncles of the uvula (𩣔馬癰), scrotal abscesses (囊癰), and acute mastitis (乳癰). 《正傳》
교감기 1 當*襠 ※《醫學正傳》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