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경편 권1 內景篇卷之一
1 신형 身形
2 부록:노인 봉양 附養老
3 정 精
4 기 氣
5 신 神
내경편 권2 內景篇卷之二
1 혈 血
2 꿈 夢
3 성음 聲音
4 말 言語
5 진액 津液
6 담음 痰飮
내경편 권3 內景篇卷之三
1 오장육부 五臟六腑
2 간장 肝臟
3 심장 心臟
4 비장 脾臟
5 폐장 肺臟
6 신장 腎臟
7 담부 膽腑
8 위부 胃腑
9 소장부 小腸腑
10 대장부 大腸腑
11 방광부 膀胱腑
12 삼초부 三焦腑
13 포 胞
14 충 蟲
내경편 권4 內景篇卷之四
1 소변 小便
2 대변 大便
외형편 권1 外形篇卷之一
1 머리 頭
2 얼굴 面
3 눈 眼
외형편 권2 外形篇卷之二
1 귀 耳
2 코 鼻
3 입과 혀 口舌
4 치아 牙齒
5 인후 咽喉
6 경항 頸項
7 등 背
외형편 권3 外形篇卷之三
1 가슴 胸
2 젖가슴 乳
3 배 腹
4 배꼽 臍
5 허리 腰
6 옆구리 脇
7 피부 皮
8 육 肉
9 맥 脉
10 근 筋
11 뼈 骨
외형편 권4 外形篇卷之四
1 팔 手
2 다리 足
3 모발 毛髮
4 전음 前陰
5 후음 後陰
잡병편 권1 雜病篇 卷之一
1 천지운기 天地運氣
2 심병 審病
3 변증 辨證
4 진맥 診脉
5 용약 用藥
6 토 吐
7 한 汗
8 하 下
잡병편 권2 雜病篇卷之二
1 풍 風
2
한-上
寒
잡병편 권3 雜病篇卷之三
1 한-下 寒 下
2 서 暑
3 습 濕
4 조 燥
5 화 火
잡병편 권4 雜病篇卷之四
1 내상 內傷
2 허로 虛勞
잡병편 권5 雜病篇卷之五
1 곽란 霍亂
2 구토 嘔吐
3 해수 咳嗽
잡병편 권6 雜病篇卷之六
1 적취 積聚
2 부종 浮腫
3 창만 脹滿
4 소갈 消渴
5 황달 黃疸
잡병편 권7 雜病篇卷之七
1 해학 痎瘧
2 온역 瘟疫
3 사수 邪祟
4
옹저 상
癰疽
잡병편 권8 雜病篇卷之八
1 옹저 하 癰疽 下
2 제창 諸瘡
잡병편 권9 雜病篇卷之九
1 제상 諸傷
2 해독 解毒
3 구급 救急
4 괴질 怪疾
5 잡방 雜方
잡병편 권10 雜病篇卷之十
1 부인 婦人
잡병편 권11 雜病篇卷之十一
1 소아 小兒
탕액편 권1 湯液篇卷之一
1 탕액범례 湯液序例
2 수부 水部
3 토부 土部
4 곡부 穀部
5 인부 人部
6 금부 禽部
7 수부 獸部
탕액편 권2 湯液篇卷之二
1 어부 魚部
2 충부 蟲部
3 과부 果部
4 채부 菜部
5
초부 상
草部
탕액편 권3 湯液篇卷之三
1
초부 하
草部
2 목부 木部
3 옥부 玉部
4 석부 石部
5 금부 金部
침구편 鍼灸篇
1 침구 鍼灸
8.1 胃形象
위의 형상
The Shape of the Stomach
1 胃長一尺六寸, 胃紆曲屈, 伸之, 長二尺六寸, 大一尺五寸, 徑五寸. 受水穀三斗五升, 其中之穀, 常留二斗, 水一斗五升. 《靈樞》
목구멍에서 위(胃)까지의 길이는 1자 6촌이다. 위(胃)는 구부러져 있으니 이것을 펴면 2자 6촌이다. 그 둘레는 1자 5촌이고 직경은 5촌이다. 수곡(水穀) 3말 5되를 받아들이는데, 곡식은 2말이고 물은 1말 5되가 항상 머물러 있다. 《영추》
The length from the throat to the stomach is 1 ja 6 chon. Unfolding the curved stomach, its length measures up to 2 ja 6 chon. Its circumference is 1 ja 5 chon and the diameter is 5 chon. It receives 3 mal 5 doe of food and water. Among those, food is 2 mal and water is 1 mal 5 doe. 《靈樞》
2 胃重二斤十四兩. 《難經》
위(胃)의 무게는 2근 14냥이다. 《난경》
Weight of the stomach is 2 geun 14 nyang. 《難經》
3 胃爲之市. 註曰, 水穀所歸, 五味皆入, 如市雜, 故爲市也. 《內經》
위(胃)는 시장이다. 주(註)에, "수곡이 들어가고 오미가 모두 들어가니 북적대는 시장과 같아서 시장이라 한 것이다"라 하였다. 《내경》
The stomach is the market. The note says, "The stomach is called the market because the stomach resembles the atmosphere of a market since food, water and the five tastes all go into the stomach." 《內經》
4 胃號太倉, 俗呼爲肚. 受水穀三斗五升. 平人日再圊, 一行二升半, 一日五升, 七日則三斗五升而水穀盡矣. 故平人不飮食七日而死者, 胃中水穀津液俱盡也. 《入門》
위(胃)를 태창(太倉)이라 하는데 민간에서는 밥통이라 한다. 수곡 3말 5되를 받을 수 있다. 보통 사람은 하루에 대변을 2번 본다. 한 번에 2.5되를 배설하고 하루에 5되를 배설하기 때문에 7일이 지나면 3말 5되를 배설하여 수곡이 모두 없어진다. 그러므로 보통 7일 동안 음식을 먹지 않으면 죽는 것이니 위(胃) 속에 있는 수곡과 진액이 모두 없어지기 때문이다. 《입문》
The stomach is called the huge storage and people call it the rice container. It can receive 3 mal and 5 doe of food and water. The normal person defecates twice a day, releasing 2.5 doe of feces at a time. After seven days, the normal person will have released 3 mal 5 doe of feces, and all food and water inside the stomach is released. Therefore, when there is no intake of food and water for seven days, the person dies because there is no more food, water, fluid, or humor left in the stomach. 《入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