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경편 권1 內景篇卷之一
1 신형 身形
2 부록:노인 봉양 附養老
3 정 精
4 기 氣
5 신 神
내경편 권2 內景篇卷之二
1 혈 血
2 꿈 夢
3 성음 聲音
4 말 言語
5 진액 津液
6 담음 痰飮
내경편 권3 內景篇卷之三
1 오장육부 五臟六腑
2 간장 肝臟
3 심장 心臟
4 비장 脾臟
5 폐장 肺臟
6 신장 腎臟
7 담부 膽腑
8 위부 胃腑
9 소장부 小腸腑
10 대장부 大腸腑
11 방광부 膀胱腑
12 삼초부 三焦腑
13 포 胞
14 충 蟲
내경편 권4 內景篇卷之四
1 소변 小便
2 대변 大便
외형편 권1 外形篇卷之一
1 머리 頭
2 얼굴 面
3 눈 眼
외형편 권2 外形篇卷之二
1 귀 耳
2 코 鼻
3 입과 혀 口舌
4 치아 牙齒
5 인후 咽喉
6 경항 頸項
7 등 背
외형편 권3 外形篇卷之三
1 가슴 胸
2 젖가슴 乳
3 배 腹
4 배꼽 臍
5 허리 腰
6 옆구리 脇
7 피부 皮
8 육 肉
9 맥 脉
10 근 筋
11 뼈 骨
외형편 권4 外形篇卷之四
1 팔 手
2 다리 足
3 모발 毛髮
4 전음 前陰
5 후음 後陰
잡병편 권1 雜病篇 卷之一
1 천지운기 天地運氣
2 심병 審病
3 변증 辨證
4 진맥 診脉
5 용약 用藥
6 토 吐
7 한 汗
8 하 下
잡병편 권2 雜病篇卷之二
1 풍 風
2
한-上
寒
잡병편 권3 雜病篇卷之三
1 한-下 寒 下
2 서 暑
3 습 濕
4 조 燥
5 화 火
잡병편 권4 雜病篇卷之四
1 내상 內傷
2 허로 虛勞
잡병편 권5 雜病篇卷之五
1 곽란 霍亂
2 구토 嘔吐
3 해수 咳嗽
잡병편 권6 雜病篇卷之六
1 적취 積聚
2 부종 浮腫
3 창만 脹滿
4 소갈 消渴
5 황달 黃疸
잡병편 권7 雜病篇卷之七
1 해학 痎瘧
2 온역 瘟疫
3 사수 邪祟
4
옹저 상
癰疽
잡병편 권8 雜病篇卷之八
1 옹저 하 癰疽 下
2 제창 諸瘡
잡병편 권9 雜病篇卷之九
1 제상 諸傷
2 해독 解毒
3 구급 救急
4 괴질 怪疾
5 잡방 雜方
잡병편 권10 雜病篇卷之十
1 부인 婦人
잡병편 권11 雜病篇卷之十一
1 소아 小兒
탕액편 권1 湯液篇卷之一
1 탕액범례 湯液序例
2 수부 水部
3 토부 土部
4 곡부 穀部
5 인부 人部
6 금부 禽部
7 수부 獸部
탕액편 권2 湯液篇卷之二
1 어부 魚部
2 충부 蟲部
3 과부 果部
4 채부 菜部
5
초부 상
草部
탕액편 권3 湯液篇卷之三
1
초부 하
草部
2 목부 木部
3 옥부 玉部
4 석부 石部
5 금부 金部
침구편 鍼灸篇
1 침구 鍼灸
2.2 井華水 새배처엄기른우믈믈 본초
정화수(새벽에 처음 길은 물1)
Aqua Pura
주석 1 탕액문에서 제목은 다음과 같이 표기하였다. "원문한자(원문한자의 독음) 원문한글 / 현대명" 혹은 "원문한자(원문한자의 독음) 현대명". 즉 "井華水(정화수) 새배처 엄기른우믈믈 / 새벽에 처음 길은 물" 같이 되어 있을 때, 원문에는 "井華水 새배처엄기른우믈믈"과 같이 나와 있었다. 여기에 독음을 넣고 현대명을 넣어 표기하였다. ⤴
1 性平, 味甘, 無毒. 主人大驚, 九竅出血. 亦主口臭, 好顔色, 洗目膚瞖, 及酒後熱痢. 此井中平朝第一汲者. 《本草》
성질이 평(平)하고 맛은 달며 독이 없다. 사람이 크게 놀라 구규(九竅)로 출혈하는 데 주로 쓴다. 또, 구취에 주로 쓴다. 얼굴색을 좋게 하고 눈에 부예(膚瞖)가 낀 것을 씻어 준다. 술 마신 뒤에 열리(熱痢)가 있는 데에도 쓴다. 우물에서 새벽에 처음 기른 물이다. 《본초》
The nature is mild, the taste is sweet, and it is poison-free. It is mostly used to treat bleeding from the Gugyu (nine openings, 九竅) due to startling experiences. It is also used to eliminate breathe breath odor. It improves the complexion and washes away a nebula. It is also used for heat dysentery after drinking. It is the first batch of water from a well very early in the morning. 《本草》
2 井華水者, 天一眞精之氣, 浮結于水面, 故可取以烹煎補陰之劑, 及修煉還丹之用. 今好淸之士, 每日取以烹春茗, 而謂淸利頭目最佳. 其性味, 同於雪水也. 《正傳》
정화수는 천일진정(天一眞精)의 기가 수면에 떠서 맺힌 것이다. 이 물로 음을 보하는 약을 달이거나 환단(還丹)을 만드는 데에 쓴다. 요즘 맑은 것을 좋아하는 선비들이 매일 이 물을 길어 봄차를 달이는데, 머리와 눈을 맑게 하는 데 가장 좋다고 한다. 그 성질과 맛은 눈을 녹인 물과 같다. 《정전》
Water drawn from jeonghwasu (the well early at dawn, 井華水) is created from the Heavenly Essence qi projected upon the water surface. This water is used for decocting concoctions that replenish yin or making Hwandan (circulation pellets, 還丹). Noblemen who prefer clear liquids collect this water daily and brew fresh spring tea leaves, which work best for clarifying the mind and the eyes. Its nature is the same as melted snow. 《正傳》
3 井華水, 服藥煉藥幷用之. 投酒醋, 令不腐. 《本草》
정화수는 약을 먹거나 약을 제련할 때 모두 쓴다. 술이나 식초를 만들 때 이것을 넣으면 썩지 않는다. 《본초》
Jeonghwasu (water drawn from the well early a井華水da井華水, 服藥煉藥幷用之. 投酒醋, 令不腐. 《本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