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경편 권1 內景篇卷之一
1 신형 身形
2 부록:노인 봉양 附養老
3 정 精
4 기 氣
5 신 神
내경편 권2 內景篇卷之二
1 혈 血
2 꿈 夢
3 성음 聲音
4 말 言語
5 진액 津液
6 담음 痰飮
내경편 권3 內景篇卷之三
1 오장육부 五臟六腑
2 간장 肝臟
3 심장 心臟
4 비장 脾臟
5 폐장 肺臟
6 신장 腎臟
7 담부 膽腑
8 위부 胃腑
9 소장부 小腸腑
10 대장부 大腸腑
11 방광부 膀胱腑
12 삼초부 三焦腑
13 포 胞
14 충 蟲
내경편 권4 內景篇卷之四
1 소변 小便
2 대변 大便
외형편 권1 外形篇卷之一
1 머리 頭
2 얼굴 面
3 눈 眼
외형편 권2 外形篇卷之二
1 귀 耳
2 코 鼻
3 입과 혀 口舌
4 치아 牙齒
5 인후 咽喉
6 경항 頸項
7 등 背
외형편 권3 外形篇卷之三
1 가슴 胸
2 젖가슴 乳
3 배 腹
4 배꼽 臍
5 허리 腰
6 옆구리 脇
7 피부 皮
8 육 肉
9 맥 脉
10 근 筋
11 뼈 骨
외형편 권4 外形篇卷之四
1 팔 手
2 다리 足
3 모발 毛髮
4 전음 前陰
5 후음 後陰
잡병편 권1 雜病篇 卷之一
1 천지운기 天地運氣
2 심병 審病
3 변증 辨證
4 진맥 診脉
5 용약 用藥
6 토 吐
7 한 汗
8 하 下
잡병편 권2 雜病篇卷之二
1 풍 風
2
한-上
寒
잡병편 권3 雜病篇卷之三
1 한-下 寒 下
2 서 暑
3 습 濕
4 조 燥
5 화 火
잡병편 권4 雜病篇卷之四
1 내상 內傷
2 허로 虛勞
잡병편 권5 雜病篇卷之五
1 곽란 霍亂
2 구토 嘔吐
3 해수 咳嗽
잡병편 권6 雜病篇卷之六
1 적취 積聚
2 부종 浮腫
3 창만 脹滿
4 소갈 消渴
5 황달 黃疸
잡병편 권7 雜病篇卷之七
1 해학 痎瘧
2 온역 瘟疫
3 사수 邪祟
4
옹저 상
癰疽
잡병편 권8 雜病篇卷之八
1 옹저 하 癰疽 下
2 제창 諸瘡
잡병편 권9 雜病篇卷之九
1 제상 諸傷
2 해독 解毒
3 구급 救急
4 괴질 怪疾
5 잡방 雜方
잡병편 권10 雜病篇卷之十
1 부인 婦人
잡병편 권11 雜病篇卷之十一
1 소아 小兒
탕액편 권1 湯液篇卷之一
1 탕액범례 湯液序例
2 수부 水部
3 토부 土部
4 곡부 穀部
5 인부 人部
6 금부 禽部
7 수부 獸部
탕액편 권2 湯液篇卷之二
1 어부 魚部
2 충부 蟲部
3 과부 果部
4 채부 菜部
5
초부 상
草部
탕액편 권3 湯液篇卷之三
1
초부 하
草部
2 목부 木部
3 옥부 玉部
4 석부 石部
5 금부 金部
침구편 鍼灸篇
1 침구 鍼灸
3.21 咳逆與噦爲一
딸꾹질과 얼은 같다
Hae-yeok and Eol Are the Same
1 噦病, 成無己, 許學士謂之吃逆, 是也. 或曰, 東垣海藏以噦爲乾嘔, 陳無擇又以爲咳逆, 何也. 答曰, 靈樞經云, 噦以草刺鼻, 令嚏, 嚏而已. 無息而疾迎引之, 立已, 大驚之, 亦可已. 詳此三法, 正是治吃逆之法. 今人用紙撚刺鼻便嚏, 嚏則吃逆立止. 或閉口鼻氣, 使之無息, 亦立已. 或作寃盜賊, 大驚駭之, 亦已. 此以噦爲咳逆, 爲得經旨也. 謂之噦者, 吃聲之重也. 謂之吃者, 噦聲之輕也. 皆因病聲之輕重而名之也. 《綱目》
얼병(噦病)은 성무기와 허학사가 딸꾹질이라고 한 것이다. 누군가 묻기를, "동원과 해장은 얼을 헛구역질[乾嘔]로 보았고 진무택은 딸꾹질로 보았다. 어떻게 된 것인가? "라고 하니, 대답하기를, "《영추경》에, '얼병이 있을 때 풀로 코를 자극하면 재채기를 하는데, 재채기를 하면 낫는다. 숨을 멈추고 있다가 얼이 나오려고 할 때 재빨리 들이 마시면 곧 낫고, 크게 놀라게 하여도 낫는다'고 하였다. 이 세 방법을 살펴보면 바로 딸꾹질을 치료하는 방법이다. 요즘에는 종이 심지로 코를 자극하여 재채기를 하는데, 재채기를 하면 딸꾹질이 곧 멎는다. 혹 입과 코를 막아 숨을 쉬지 않아도 곧 딸꾹질이 멎는다. 혹 도둑인 척 하여 크게 놀라게 하여도 낫는다. 그러므로 얼을 딸꾹질이라고 하여야 《내경》의 뜻과 같은 것이다"라 하였다. '얼(噦)'이란 딸꾹거리는 소리가 심한 것이고, '흘(吃)'이란 딸꾹거리는 소리가 가벼운 것이다. 모두 소리의 경중에 따라서 이름 붙인 것이다. 《강목》
Eol (噦, hiccups) is what Cheng Wuji (成無己) and Dr. Xu (許學士) referred to as hiccups. Someone asked, "Dongyuan (東垣) and Haicang (海藏) recognized Eol (噦, hiccups) as dry retching, while Chen Wuze (陳無擇) considered it as hiccups. How can it be?" Another answered, "Divine Pivot (靈樞經) says, 'When one has Eol (噦, hiccups), one sneezes when the nose is stimulated with grass. With the sneeze, Eol (噦, hiccups) is cured. If one holds one's breath, and quickly breathes in when Eol (噦, hiccups) is about to occur, it will soon be cured. It can also be cured when one is greatly frightened.' These three methods are ways to treat the hiccups. These days, the nose is stimulated with a paper wick in order to induce sneezing. Hiccups stop soon after sneezing. Sometimes hiccups stop when one holds one's breath by blocking the mouth and nose. Also, it is sometimes cured when the doctor pretends to be a thief and frightens the patient greatly. Therefore, Eol (噦, hiccups) as hiccups, has the same meaning as what is written in the Inner Classic (內經)." 'Eol (噦, hiccups)' is when the sound of hiccups is heavy; 'Heul (吃, hiccups)' is when the sound of hiccups is light. Both are named after the lightness and heaviness of the sound. 《綱目》
2 咳逆, 古人謂之𩜺, 是也. 《仲景》
딸꾹질은 옛 사람들이 '열(𩜺1)'이라고 한 것이다. 《중경》
Hiccups were referred to as 'Yeol (𩜺)' by the ancient people. 《仲景》
주석 1 𩜺䭇의 譌字이며 䭇은 噎의 이체자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