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경편 권1 內景篇卷之一
1 신형 身形
2 부록:노인 봉양 附養老
3 정 精
4 기 氣
5 신 神
내경편 권2 內景篇卷之二
1 혈 血
2 꿈 夢
3 성음 聲音
4 말 言語
5 진액 津液
6 담음 痰飮
내경편 권3 內景篇卷之三
1 오장육부 五臟六腑
2 간장 肝臟
3 심장 心臟
4 비장 脾臟
5 폐장 肺臟
6 신장 腎臟
7 담부 膽腑
8 위부 胃腑
9 소장부 小腸腑
10 대장부 大腸腑
11 방광부 膀胱腑
12 삼초부 三焦腑
13 포 胞
14 충 蟲
내경편 권4 內景篇卷之四
1 소변 小便
2 대변 大便
외형편 권1 外形篇卷之一
1 머리 頭
2 얼굴 面
3 눈 眼
외형편 권2 外形篇卷之二
1 귀 耳
2 코 鼻
3 입과 혀 口舌
4 치아 牙齒
5 인후 咽喉
6 경항 頸項
7 등 背
외형편 권3 外形篇卷之三
1 가슴 胸
2 젖가슴 乳
3 배 腹
4 배꼽 臍
5 허리 腰
6 옆구리 脇
7 피부 皮
8 육 肉
9 맥 脉
10 근 筋
11 뼈 骨
외형편 권4 外形篇卷之四
1 팔 手
2 다리 足
3 모발 毛髮
4 전음 前陰
5 후음 後陰
잡병편 권1 雜病篇 卷之一
1 천지운기 天地運氣
2 심병 審病
3 변증 辨證
4 진맥 診脉
5 용약 用藥
6 토 吐
7 한 汗
8 하 下
잡병편 권2 雜病篇卷之二
1 풍 風
2
한-上
寒
잡병편 권3 雜病篇卷之三
1 한-下 寒 下
2 서 暑
3 습 濕
4 조 燥
5 화 火
잡병편 권4 雜病篇卷之四
1 내상 內傷
2 허로 虛勞
잡병편 권5 雜病篇卷之五
1 곽란 霍亂
2 구토 嘔吐
3 해수 咳嗽
잡병편 권6 雜病篇卷之六
1 적취 積聚
2 부종 浮腫
3 창만 脹滿
4 소갈 消渴
5 황달 黃疸
잡병편 권7 雜病篇卷之七
1 해학 痎瘧
2 온역 瘟疫
3 사수 邪祟
4
옹저 상
癰疽
잡병편 권8 雜病篇卷之八
1 옹저 하 癰疽 下
2 제창 諸瘡
잡병편 권9 雜病篇卷之九
1 제상 諸傷
2 해독 解毒
3 구급 救急
4 괴질 怪疾
5 잡방 雜方
잡병편 권10 雜病篇卷之十
1 부인 婦人
잡병편 권11 雜病篇卷之十一
1 소아 小兒
탕액편 권1 湯液篇卷之一
1 탕액범례 湯液序例
2 수부 水部
3 토부 土部
4 곡부 穀部
5 인부 人部
6 금부 禽部
7 수부 獸部
탕액편 권2 湯液篇卷之二
1 어부 魚部
2 충부 蟲部
3 과부 果部
4 채부 菜部
5
초부 상
草部
탕액편 권3 湯液篇卷之三
1
초부 하
草部
2 목부 木部
3 옥부 玉部
4 석부 石部
5 금부 金部
침구편 鍼灸篇
1 침구 鍼灸
2.13 痢疾裏急後重
이질의 이급후중
Tenesmus of Dysentery
1 裏急, 窘迫急痛是也. 後重者, 大腸墜重而下也. 其證不一. 有因火熱者, 謂火性急速而能燥物, 是也. 有因氣滯者, 此大腸之氣壅而不宣通也. 有因積滯壅盛者, 是有物結墜也. 有氣虛者, 此大腸氣降而不能升也. 有血虛者, 所謂虛坐努責是也. 治法, 火熱者淸之, 氣滯者調之, 積滯者去之, 氣虛者升之, 血虛者補之. 《玉機》
이급(裏急)이란 뒤가 곤란하고 당기며 아픈 것이고, 후중(後重)은 대장이 묵직하게 아래로 빠져나오는 듯한 것인데, 그 증상의 원인은 한 가지가 아니다. 화열(火熱)로 인한 것은 화성(火性)이 급속하여 물건을 말리기 때문이다. 기체(氣滯)로 인한 것은 대장의 기가 막혀서 잘 통하지 않기 때문이다. 적체가 옹성한 것은 무엇인가 뭉쳐서 떨어졌기 때문이다. 기가 허한 것은 대장의 기가 내려가서 올라가지 못하기 때문이다. 혈이 허한 것은 이른바 헛되이 앉아서 아랫배에 힘만 준다는 것이다. 치료법은 다음과 같다. 화열(火熱)이 있을 때는 서늘하게 하고, 기체이면 기를 고르게 한다. 적체이면 제거하고, 기가 허하면 기를 올려 주며, 혈이 허하면 혈을 보한다. 《옥기》
Igeup (裏急: urgency of the interior) means that the bottom is uncomfortable with pulling pain, and hujung (後重: heaviness of the bottom) is that the large intestine is about to move downward heavily. The reasons for the symptom are varied. That caused by Fire-heat is because Fire property is rapid so it dries things up. That caused by qi stagnation is because qi of the large intestine is blocked so the fluent flow is slowed down. Accumulation-stagnation is because something is conglomerated. qi deficiency is because qi of the large intestine is unable to ascend as it descended down. Blood deficiency is that the patient struggles in vain. Treatments are as follow. Cool if Fire-heat exists and make qi even if qi-stagnation exists. Remove if accumulation-stagnation exists, raise up qi for qi deficiency, and tonify blood in blood deficiency. 《玉機》
2 後重者, 本因邪壓大腸而墜下, 故大腸不能升上而重, 用大黃ㆍ檳榔輩, 瀉其所壓之邪. 今邪旣瀉而其重因在者, 知大腸虛滑, 不能自收而重, 用御米殼等澁劑, 固其滑, 收其氣亦愈也. 《丹心》
후중이란 본래 사기(邪氣)가 대장을 눌러서 대장이 처지기 때문에 대장이 제대로 상승하지 못하여 뒤가 묵직한 것이다. 대황ㆍ빈랑 같은 것들을 써서 대장을 짓누르는 사기를 빼내야 한다. 사기를 제거하였으나 후중이 남아 있는 것은 대장이 허하여 대변이 줄줄 빠져 나와도 스스로 수렴할 수 없기 때문에 뒤가 묵직한 것이다. 앵속각 등의 막는 약을 써서 줄줄 새는 것을 막고 그 기를 수렴하여야 낫는다. 《단심》
Houzhong (後重: heaviness of the bottom) results from the large intestine not being able to ascend well when pathogenic qi is pressing it down. Herbs like Rhei Radix et Rhizoma (大黃) and Arecae Semen (檳榔) should be used to remove the pathogen. When there is still Hujung after the pathogen is removed, it is because the large intestine is deficient so it cannot hold the feces from falling out; therefore, the bottom feels heavy. It can be treated with medicines like Pericarpium Papaveris (鸎粟殼) which blocks the leaks so as to hold qi. 《丹心》
3 下墜異常, 積中有紫黑血, 而又痛甚, 此爲死血, 用桃仁泥, 滑石行之. 《丹心》
평소와 다르게 아래로 처지고 덩어리 속에 자흑색의 피가 보이면서 통증이 심한 것은 어혈이 있는 것이다. 도인(간 것)과 활석을 써서 혈을 돌게 한다. 《단심》
Feeling unordinary heaviness of the bottom with purple-black blood clots in feces and severe pain are signs of static blood. Persicae Semen (桃仁) (ground) and Talcum (滑石) should be used to circulate blood. 《丹心》
4 後重窘迫, 當和氣, 宜木香ㆍ檳榔. 《易老》
후중으로 곤란하고 급할 때는 기를 고르게 해야 하기 때문에 목향ㆍ빈랑을 써야 한다. 《역로》
Aucklandiae Radix (木香) and Arecae Semen (檳榔) should be used for uncomfortable and heavy feelings from hujung to make qi even. 《易老》
5 自古, 治裏急後重, 但用木香ㆍ檳榔調氣, 及大黃下積, 至丹溪, 始用桃仁, 滑石活死血, 其效如鼓應桴. 《綱目》
옛날부터 이급후중을 치료할 때는 단지 목향ㆍ빈랑을 써서 기를 고르게 하고 대황을 써서 적(積)을 설사시킬 뿐이었다. 단계에 이르러 비로소 도인ㆍ활석을 써서 어혈을 없애니 그 효과가 북채로 북을 울리는 듯하였다. 《강목》
Since early times in treating tenesmus, qi was made even by only using Aucklandiae Radix (木香) and Arecae Semen (檳榔). Diarrhea was induced to remove accumulation by Rhei Radix et Rhizoma (大黃). It is from Danxi's Essential Methods that Persicae Semen (桃仁) and Talcum (滑石) was used to remove static blood. The effect was just like beating the drum with a drumstick. 《綱目》
6 氣行, 血和, 積少, 但虛坐努責, 此爲亡血證. 倍用當歸身尾, 却以生地黃ㆍ生芍藥ㆍ生桃仁, 佐之, 陳皮和之, 血生自安. 血虛則裏急, 故用當歸身. 《丹心》
기가 흐르고 혈이 조화되어 적(積)이 적어졌으나, 다만 헛되이 앉아서 아랫배에 힘만 주는 것은 망혈증이다. 당귀의 몸통 부위와 잔뿌리를 2배로 하고 생지황ㆍ생작약ㆍ생도인을 좌약으로 삼은 후 진피로 조화시키면 혈이 생겨서 저절로 낫는다. 혈이 허하면 이급이 있는 것이니 당귀(몸통 부위)를 써야 한다. 《단심》
Blood collapse syndrome is where accumulation is removed as qi flows and blood becomes harmonious, but the patient struggles in vain. Double the amount of body and rootlets of Angelica Gigantis Radix (當歸) and use Rehmanniae Radix Crudus (生地黃), raw Paeoniae Radix (芍藥), and raw Persicae Semen (桃仁) as assistant medicinals and moderate with Citrus Unshius Pericarpium (陳皮), then the blood will form and treat itself. A blood deficiency leads to Igeup (裏急), so Angelica Gigantis Radix (當歸) (the body part) should be used. 《丹心》
7 裏急者, 腹中不寬快也. 虛坐而大便不行者, 血虛也. 後重者, 虛氣墜下也. 《回春》
이급은 뱃속이 상쾌하지 않은 것이다. 공연히 앉아 있기만 하고 대변이 나오지 않는 것은 혈이 허하기 때문이다. 후중은 허한 기운이 아래로 처지기 때문이다. 《회춘》
Igeup (裏急) is the uncomfortable feeling in the abdomen. Struggling in the toilet in vain results from a blood deficiency. Hujung (後重) results from deficient qi drooping down. 《回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