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경편 권1 內景篇卷之一
1 신형 身形
2 부록:노인 봉양 附養老
3 정 精
4 기 氣
5 신 神
내경편 권2 內景篇卷之二
1 혈 血
2 꿈 夢
3 성음 聲音
4 말 言語
5 진액 津液
6 담음 痰飮
내경편 권3 內景篇卷之三
1 오장육부 五臟六腑
2 간장 肝臟
3 심장 心臟
4 비장 脾臟
5 폐장 肺臟
6 신장 腎臟
7 담부 膽腑
8 위부 胃腑
9 소장부 小腸腑
10 대장부 大腸腑
11 방광부 膀胱腑
12 삼초부 三焦腑
13 포 胞
14 충 蟲
내경편 권4 內景篇卷之四
1 소변 小便
2 대변 大便
외형편 권1 外形篇卷之一
1 머리 頭
2 얼굴 面
3 눈 眼
외형편 권2 外形篇卷之二
1 귀 耳
2 코 鼻
3 입과 혀 口舌
4 치아 牙齒
5 인후 咽喉
6 경항 頸項
7 등 背
외형편 권3 外形篇卷之三
1 가슴 胸
2 젖가슴 乳
3 배 腹
4 배꼽 臍
5 허리 腰
6 옆구리 脇
7 피부 皮
8 육 肉
9 맥 脉
10 근 筋
11 뼈 骨
외형편 권4 外形篇卷之四
1 팔 手
2 다리 足
3 모발 毛髮
4 전음 前陰
5 후음 後陰
잡병편 권1 雜病篇 卷之一
1 천지운기 天地運氣
2 심병 審病
3 변증 辨證
4 진맥 診脉
5 용약 用藥
6 토 吐
7 한 汗
8 하 下
잡병편 권2 雜病篇卷之二
1 풍 風
2
한-上
寒
잡병편 권3 雜病篇卷之三
1 한-下 寒 下
2 서 暑
3 습 濕
4 조 燥
5 화 火
잡병편 권4 雜病篇卷之四
1 내상 內傷
2 허로 虛勞
잡병편 권5 雜病篇卷之五
1 곽란 霍亂
2 구토 嘔吐
3 해수 咳嗽
잡병편 권6 雜病篇卷之六
1 적취 積聚
2 부종 浮腫
3 창만 脹滿
4 소갈 消渴
5 황달 黃疸
잡병편 권7 雜病篇卷之七
1 해학 痎瘧
2 온역 瘟疫
3 사수 邪祟
4
옹저 상
癰疽
잡병편 권8 雜病篇卷之八
1 옹저 하 癰疽 下
2 제창 諸瘡
잡병편 권9 雜病篇卷之九
1 제상 諸傷
2 해독 解毒
3 구급 救急
4 괴질 怪疾
5 잡방 雜方
잡병편 권10 雜病篇卷之十
1 부인 婦人
잡병편 권11 雜病篇卷之十一
1 소아 小兒
탕액편 권1 湯液篇卷之一
1 탕액범례 湯液序例
2 수부 水部
3 토부 土部
4 곡부 穀部
5 인부 人部
6 금부 禽部
7 수부 獸部
탕액편 권2 湯液篇卷之二
1 어부 魚部
2 충부 蟲部
3 과부 果部
4 채부 菜部
5
초부 상
草部
탕액편 권3 湯液篇卷之三
1
초부 하
草部
2 목부 木部
3 옥부 玉部
4 석부 石部
5 금부 金部
침구편 鍼灸篇
1 침구 鍼灸
4.13 氣逸則滯
한가로우면 기가 막힌다
Idleness Causes qi Stagnation
1 臞仙曰, 人之勞倦, 有生於無端. 不必持重執輕, 仡仡終日, 惟是閑人, 多生此病. 盖閑樂之人, 不多運動氣力, 飽食坐臥, 經絡不通, 血脉凝滯使然也. 是以貴1人貌樂而心勞, 賤人心閑而貌苦. 貴人嗜慾不時, 或昧於忌犯, 飮食珍羞, 便乃寢臥. 故常須用力, 但不至疲極. 所貴榮衛流通, 血脉調暢, 譬如流水不汚, 戶樞不蠹也.
구선이, "노권상은 아무 이유 없이 생길 때가 있다. 꼭 무거운 것을 들거나 가벼운 것을 잡고 하루 종일 힘쓴다고 해서 생기는 것이 아니고 한가한 사람에게서 이 병이 생길 때가 많다. 한가롭게 노는 사람은 몸을 움직여 기력을 쓰는 때가 많지 않고, 배불리 먹고 나서 앉아 있거나 눕는다. 이렇게 하면 경락이 통하지 않고 혈맥이 막혀 노권상이 생긴다. 그래서 귀한 사람은 겉모습이 즐거워 보여도 마음은 힘이 들고, 천한 사람은 마음이 한가해도 겉모습은 힘들어 보인다. 귀한 사람은 아무 때나 욕심을 채우고 금기해야 할 것을 알지 못하며 진수성찬을 먹은 뒤에 곧바로 드러눕는다. 그러므로 사람은 항상 힘을 써야 하되, 너무 피로할 때까지 일을 해서는 안 된다. 영위가 잘 흐르고 혈맥이 고르게 퍼지게 일하는 정도가 좋은 것이다. 흐르는 물은 썩지 않고 지도리는 좀을 먹지 않는 것과 같다"고 하였다.
Quxian (臞仙) said, "Damage caused by overexertion and fatigue sometimes occur for no apparent reasons. It does not always occur by carrying heavy loads or exerting one's strength on a light weight all day long. Rather, it often occurs in idle people. Idle people do not use their strength by moving their bodies, but they only sit or lie down after eating heartily. This blocks the meridians and blood vessels, triggering damage caused by overexertion and fatigue. Thus, eventhough a nobleperson seems to be happy outwardly, his or her mind suffers; and even though a peasant is complacent in his or her mind, he or she appears to suffer outwardly. A nobleperson tries to satisfy one's desires at all times, does not know abstinence, and lies down straight after eating heartily. Therefore, one should always use one's strength, but not to the point where one feels too tired. Working to the point where nutrient qi and defense qi flow well and blood vessels spread out evenly is the adequate level. It is the same as the following: running water does not get stale, and hinges do not get eaten by moths. "
교감기 1 貴責 ※갑영_동, 기영_나 ⤴
2 入門曰, 逸則氣滯, 亦令氣結. 輕者, 行動卽愈, 重者, 橘皮一物湯.
《입문》에, "한가하면 기가 막히거나 뭉친다. 병이 가벼울 때는 움직이면 낫지만 심할 때는 귤피일물탕을 써야 한다"고 하였다.
The Introduction to Medicine (入門) says, "Idleness causes qi stagnation or qi bind. If the disease is slight, it can be cured just by moving around, but if it is serious, one should drink a Aurantii Pericarpium One Substance Decoction. "
4.13.1 橘皮一物湯 방제
귤피일물탕
Aurantii Pericarpium One Substance Decoction
1 橘皮, 洗淨, 一兩, 新汲水煎服.
깨끗하게 씻은 귤피 1냥을 새로 길어온 물에 달여 먹는다.
Decoct one nyang of cleansed Citrus Unshius Pericarpium (橘皮) with freshly drawn wa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