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경편 권1 內景篇卷之一
1 신형 身形
2 부록:노인 봉양 附養老
3 정 精
4 기 氣
5 신 神
내경편 권2 內景篇卷之二
1 혈 血
2 꿈 夢
3 성음 聲音
4 말 言語
5 진액 津液
6 담음 痰飮
내경편 권3 內景篇卷之三
1 오장육부 五臟六腑
2 간장 肝臟
3 심장 心臟
4 비장 脾臟
5 폐장 肺臟
6 신장 腎臟
7 담부 膽腑
8 위부 胃腑
9 소장부 小腸腑
10 대장부 大腸腑
11 방광부 膀胱腑
12 삼초부 三焦腑
13 포 胞
14 충 蟲
내경편 권4 內景篇卷之四
1 소변 小便
2 대변 大便
외형편 권1 外形篇卷之一
1 머리 頭
2 얼굴 面
3 눈 眼
외형편 권2 外形篇卷之二
1 귀 耳
2 코 鼻
3 입과 혀 口舌
4 치아 牙齒
5 인후 咽喉
6 경항 頸項
7 등 背
외형편 권3 外形篇卷之三
1 가슴 胸
2 젖가슴 乳
3 배 腹
4 배꼽 臍
5 허리 腰
6 옆구리 脇
7 피부 皮
8 육 肉
9 맥 脉
10 근 筋
11 뼈 骨
외형편 권4 外形篇卷之四
1 팔 手
2 다리 足
3 모발 毛髮
4 전음 前陰
5 후음 後陰
잡병편 권1 雜病篇 卷之一
1 천지운기 天地運氣
2 심병 審病
3 변증 辨證
4 진맥 診脉
5 용약 用藥
6 토 吐
7 한 汗
8 하 下
잡병편 권2 雜病篇卷之二
1 풍 風
2
한-上
寒
잡병편 권3 雜病篇卷之三
1 한-下 寒 下
2 서 暑
3 습 濕
4 조 燥
5 화 火
잡병편 권4 雜病篇卷之四
1 내상 內傷
2 허로 虛勞
잡병편 권5 雜病篇卷之五
1 곽란 霍亂
2 구토 嘔吐
3 해수 咳嗽
잡병편 권6 雜病篇卷之六
1 적취 積聚
2 부종 浮腫
3 창만 脹滿
4 소갈 消渴
5 황달 黃疸
잡병편 권7 雜病篇卷之七
1 해학 痎瘧
2 온역 瘟疫
3 사수 邪祟
4
옹저 상
癰疽
잡병편 권8 雜病篇卷之八
1 옹저 하 癰疽 下
2 제창 諸瘡
잡병편 권9 雜病篇卷之九
1 제상 諸傷
2 해독 解毒
3 구급 救急
4 괴질 怪疾
5 잡방 雜方
잡병편 권10 雜病篇卷之十
1 부인 婦人
잡병편 권11 雜病篇卷之十一
1 소아 小兒
탕액편 권1 湯液篇卷之一
1 탕액범례 湯液序例
2 수부 水部
3 토부 土部
4 곡부 穀部
5 인부 人部
6 금부 禽部
7 수부 獸部
탕액편 권2 湯液篇卷之二
1 어부 魚部
2 충부 蟲部
3 과부 果部
4 채부 菜部
5
초부 상
草部
탕액편 권3 湯液篇卷之三
1
초부 하
草部
2 목부 木部
3 옥부 玉部
4 석부 石部
5 금부 金部
침구편 鍼灸篇
1 침구 鍼灸
3.17 單方
단방
Simple Prescriptions
凡十四種.
모두 14종이다.
There are 14 kinds in total.
3.17.1 鹽 방제
염(소금)
Sal
1 腹脹痛, 痞悶欲死. 極醎鹽湯頓服一二椀, 吐下卽定. 《本草》
배가 불러 오르고 아프며, 답답하여 죽을 것 같은 데 쓴다. 매우 짜게 끓인 소금물을 단번에 1-2사발 마신 뒤 토하거나 설사하면 낫는다. 《본초》
Used for swelling, pain and stuffiness in the abdomen. The person will be treated after drinking one to two bowls of boiled extremely salty water and then vomit or release loose bowels. 《本草》
3.17.2 竈中熱灰 방제
조중열회(부엌의 뜨거운 재)
Fulvis Fumi Carbonisatus
1 治心腹冷痛. 和醋熨之, 冷則易. 《本草》
명치의 냉통을 치료한다. 식초에 개어 찜질한다. 식으면 갈아준다. 《본초》
It treats cold pain in the pit of the stomach. Grind this with vinegar and then apply. Change when it becomes cool. 《本草》
3.17.3 磁石 방제
자석(자석)
Magnetitum
1 鐵氣入腹作痛, 以磁石杵爲末, 鋪簟席, 睡其上. 再以磁石煎湯, 調小調氣散服之效.
쇠 기운이 배에 들어가서 아플 때는 자석을 찧어 가루내어 돗자리에 깔고 그 위에서 잠을 잔다. 또, 자석 달인 물에 소조기산을 타 먹으면 효과가 있다.
When Metal qi enters the abdomen and causes pain, grind and powder Magnetitum (磁石) and then spread it on the carpet. Sleep on the carpet. Also, mix Minor Regulate qi Powder in water boiled with Magnetitum (磁石). This is effective.
3.17.4 芍藥 방제
작약(작약의 뿌리)
Paeoniae Radix
1 治腹中㽲痛. 以此爲君, 甘草爲佐, 煎服之.
뱃속이 꼬이듯 아픈 것을 치료한다. 작약을 군약으로 하고, 감초를 좌약으로 해서 달여 먹는다.
Treats abdominal pain that feels as if the colons are twisted. Make a decoction with Paeoniae Radix (芍藥) as the major herb and Glycyrrhizae Radix (甘草) as the supplementary medicine.
2 能治血虛腹痛. 氣分諸痛不宜用也. 《丹心》
혈허복통을 치료할 수 있다. 기분(氣分)의 여러 가지 통증에는 쓸 수 없다. 《단심》
This can treat abdominal pain due to a blood deficiency. This cannot be used in various diseases from qi problems. 《丹心》
3.17.5 乾薑 방제
건강(생강을 말린 것)
Zingiberis Rhizoma Crudus
1 治脾冷腹痛嘔吐. 炒薑三錢, 甘草(灸)半錢. 右剉, 棗 一枚同煎服, 或爲末, 和飮服. 《直指》
비가 냉해서 배가 아프고 구토하는 것을 치료한다. 건강(볶은 것) 3돈, 감초(구운 것) 0.5돈을 썰어 대추 1개와 함께 달여 먹는다. 가루내어 미음에 타 먹기도 한다. 《직지》
It treats vomiting and abdominal pain due to coldness in the spleen. Cut three don of Zingiberis Rhizoma Crudus (乾薑) (stir-fried) and half don of Glycyrrhizae Radix (甘草) (roasted) and then boil this with one date in water and then take. Also, powder Zingiberis Rhizoma Crudus (乾薑) and then mix this with gruel and then take. 《直指》
3.17.6 艾葉 방제
애엽(쑥)
Artemisiae Argyi Folium
1 心腹惡氣作痛. 擣取汁飮之, 乾則濃煎服之. 《本草》
나쁜 기운 때문에 명치가 아픈 데 쓴다. 찧어서 즙을 내어 마신다. 마른 것은 진하게 달여 먹는다. 《본초》
Used for pain in the pit of the stomach due to bad qi, Pound to get the juice. Also, boil a high concentration of dried Artemisiae Argyi Folium (艾葉) and then take. 《本草》
3.17.7 桔梗 방제
길경(도라지의 뿌리)
Platycodonis Radix
1 主腹中滿痛. 剉, 取濃煎服之. 《本草》
뱃속이 그득하며 아픈 데 주로 쓴다. 썰어서 진하게 달여 먹는다. 《본초》
Mostly used for stuffiness and pain in the abdomen. Cut this and then boil a high concentration of it with water and then take. 《本草》
3.17.8 丁香 방제
정향(정향나무의 꽃봉오리)
Syzygii Flos
1 止腹中冷痛. 剉, 取水煎服, 或爲末, 點湯服. 《本草》
뱃속의 냉통을 멎게 한다. 썰어서 물에 달여 먹거나, 가루내어 끓인 물에 조금씩 타 먹는다. 《본초》
It stops cold pain in the abdomen. Cut this, then boil with water and then take. Also, powder this, mix with boiled water and then take. 《本草》
3.17.9 吳茱萸 방제
오수유(오수유의 열매)
Evodiae Fructus
1 主腹痛不可忍. 水煎服之. 《本草》
복통을 참을 수 없는 데 주로 쓴다. 물에 달여 먹는다. 《본초》
Mostly used for unbearable abdominal pain. Boil this with water and then take. 《本草》
3.17.10 厚朴 방제
후박(후박나무의 껍질)
Magnoliae Cortex
1 主腹痛脹滿雷鳴. 薑製, 水煎服, 或爲末, 薑湯點服. 《本草》
배가 아프고 불러오르며 꾸르륵 소리가 나는 데 주로 쓴다. 생강즙에 담갔다가 말린 후 물에 달여 먹거나, 가루내어 생강 달인 물에 조금씩 타 먹는다. 《본초》
Mostly used for growling sounds, swelling and pain in the abdomen. Soak this in the juice of Zingiberis Rhizoma Crudus (生薑汁) and then dry. Boil this with water and then take. Alternatively, powder this and then take with water boiled with ginger. 《本草》
3.17.11 桂皮 방제
계피(생달나무의 껍질)
Cinnamomi Cortex
1 治腹內冷痛不可忍. 煎服末服幷良. 秋冬腹痛, 非桂不能止. 《湯液》
뱃속의 냉통을 참을 수 없는 것을 치료한다. 달여 먹거나 가루내어 먹는 데, 모두 좋다. 가을과 겨울에 배가 아픈 것은 계피가 아니면 멎게 할 수 없다. 《탕액》
It treats unbearable cold pain in the abdomen. People either boil or powder this and then take. Both methods are good. Only Cinnamomi Cortex (桂皮) can treat abdominal pain in the fall and winter. 《湯液》
3.17.12 川椒 방제
천초(산초나무, 초피나무의 열매 껍질)
Zanthoxyli Pericarpium
1 主腹內冷痛. 取四十九粒, 漿水浸一宿, 令口合, 空心, 以井水呑下. 《本草》
뱃속의 냉통에 주로 쓴다. 천초 49알을 좁쌀죽 윗물에 하룻밤 재웠다가 입에 머금고 우물물로 빈속에 삼킨다. 《본초》
Mostly used for cold pain in the abdomen. Soak forty nine pills of Zanthoxyli Pericarpium (川椒) in the upper water of millet soup for a night. Take with water from a well on an empty stomach. 《本草》
3.17.13 葱白 방제
총백(파의 흰 밑)
Allii Fistulosi Bulbus
1 主腹冷痛, 濃煎湯飮之. 又細切, 和鹽炒, 熱熨之良. 《俗方》
뱃속의 냉통에 주로 쓴다. 진하게 달여 먹는다. 또, 얇게 썰어서 소금을 넣고 볶아 뜨거운 채로 찜질하면 좋다. 《속방》
Mostly used for cold pain in the abdomen. Boil this in a high concentration and then take. Also, cut this thinly and then stir-fry with salt. Apply this when it is warm. 《俗方》
3.17.14 狗肉 방제
구육(개고기)
Canitis Caro
1 治脾胃冷弱, 腹中刺痛. 肥狗肉半斤, 以椒薑鹽醬, 煮粥喫良. 《本草》
비위가 차고 약하여 뱃속이 찌르듯 아픈 것을 치료한다. 살진 개의 고기 반 근을 천초ㆍ생강ㆍ소금ㆍ간장을 넣고 죽을 쑤어 먹으면 좋다. 《본초》
It treats poking pain in the abdomen caused by a weak and cold spleen and stomach. Make a soup with three hundred grams of fat Canitis Caro (狗肉) with ginger, salt, Zanthoxyli Pericarpium (川椒) and soy sauce. Take the soup. It is good for health. 《本草》